简体 | 正體 | 대법서적

공산당의 소위 ‘진보’란 무엇인가?

글/구양비(歐陽非)

【명혜망 2009년 5월 9일】

‘중공 해체(解體)’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중국 대륙의 일부 민중들은 한 가지 의문을 품고 있다. ‘공산당은 끊임없이 변하고 있고 일부 방면에서는 그래도 좋은 방향으로 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파룬궁 수련생들은 대체 왜 또 중공의 해체를 요구하는가? 혹은 파룬궁과 중공은 왜 이다지도 모순이 첨예한가?’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은 “중공이 장기 이식에 관한 많은 법률을 제정해 과거보다 좋아졌는데 왜 굳이 ‘생체장기적출’ 문제를 크게 부각해야 하는가? 심지어 중공을 해체할 필요가 있는가?”라고 한다. 또 어떤 사람은 “현재 중공의 종교 정책은 많이 관대해졌고 여러 종교들이 공개적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종교를 믿는 사람들도 갈수록 많아지고 있는데 당신들은 왜 늘 중공에는 신앙의 자유가 없다고 비판하고 또 중공을 해체하려 하는가?”라고 말한다.

여기서 가장 먼저 좀 명확히 해야 할 것이 있다. 공산당이 말하는 소위 ‘변화’와 중공을 해체하는 노력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바로 중공을 해체하고 중공을 폭로하는 가운데 발생한 압력 때문에 중공은 비로소 백성들을 계속 미혹시키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변화한 것이다. 만약 파룬궁 수련생들이 중공의 ‘생체장기적출’이란 천인공노할 만행을 폭로하지 않았더라면 중공은 국제 사회의 강한 압력을 느끼지 못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다시 말해 이렇게 빨리 장기이식이 위축되고 외국인들이 장기이식을 받기 위해 중국에 여행 오는 것을 공개적으로 중단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평범한 중국 백성으로서는 중공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여 중공의 ‘변화’가 진정 실질적인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도리어 중공을 변화시킨 사람들을 비난하진 말아야 한다.

둘째, 중공의 변화는 그것의 정권 유지가 전제되어 있으며, 중공의 통치 지위와 상충되는 그 어떠한 조치든 모두 진정으로 실시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중공이 매체의 독립적인 감독과 언론의 자유를 허락할 수 있겠는가? 중공이 무신론을 국교의 지위에 놓은 것을 취소할 수 있는가? 이에 대한 답안은 부정적이다. 그렇다면 이런 조건 하에서 소위 ‘변화’라는 것은 진정한 의미의 ‘개량(改良)’이 될 수 없다. 매체의 독립적인 감독이 없는데 누가 있어 중공이 제정한 소위 그런 ‘개량’ 정책들이 착실히 실행되도록 보장할 수 있겠는가? 공산당이 스스로 감독하는 것을 믿는다면 이는 분명 부질없는 짓이다. ‘생체장기적출’ 사건에 대해 말하자면 지금 중공은 한편으로는 부인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국제사회의 독립적인 조사를 허락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중공의 ‘개량’에서 진정한 성의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최근 수도사범대학의 종교심리학 교수인 손연군(孫延軍 쑨옌쥔)이 밝힌 바에 따르면 중공은 어떻게 민간 종교를 사회주의 제도의 요구와 부합시킬 것인지 고민하고 있다고 한다. 종교심리학은 중공 정권을 위해 민간 종교단체들을 통제하고 관리하며 이용하기 위한 심리학적인 근거를 제공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다시 말해 중공 종교정책의 관대함은 종교의 자유에 대한 존중에서 나온 것이라기보다는 어쩔 수 없는 상황 하에서 종교를 통제하기 위해 나온 것이다.

좀 더 분명히 말하자면 중공 입장에서는 종교가 지하에 숨어 발전하는 것보다는 공산당이 적극적으로 나서 종교를 감시 통제하고, 외부세계와는 격리된 채 사회주의적 특색을 지니고 무신론의 지도를 받는 종교를 만들어 내며 결국에는 전통종교를 변이시키는 것이 더 낫다는 것이다. 때문에 무신론을 ‘궁극적인 진리’로 여기는 중공의 소위 관대한 종교정책이란 진정으로 종교를 훼멸하는 것이다.

파룬궁 수련생들은 박해에 반대하는 중에서 중공의 사악한 깡패본질을 똑똑히 인식하게 되었고 중공의 개량에 대한 환상을 철저히 버렸다. 또한 파룬궁 수련생들은 박해를 제지할 수 있는 유일한 선택은 바로 중공을 해체하는 것뿐임을 분명히 알고 있다. 중공이 존재하는 한 그것이 거짓과 위선을 이용해 보다 많은 중생들을 독해할 것이기 때문이다.

문장발표 : 2009년 5월 9일
문장분류 : 시사평론
원문위치 : http://www.minghui.org/mh/articles/2009/5/9/200474p.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