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중국 대법제자
[명혜망] 감옥 같은 불법 구금소에서 돌아온 후, 사부님의 각지 설법을 철저히 공부하며 제가 박해받은 근본 원인을 찾았습니다. 그것은 오랫동안 제거하지 못한 욕심과 욕망, 두려움, 그리고 평범한 사람들처럼 안일을 추구하는 마음과 깊은 연관이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두려움이 저를 옭아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부당하게 압류된 물품을 정당하게 되찾아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처음에는 다른 수련생의 오빠에게 부탁해 물품을 돌려받으려 했습니다. 오빠는 담당 경찰과 친분이 있었기에, 그가 “내 태도에 달렸다”며 협조해 주지 않으면 물품을 돌려받을 수 없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러나 법을 공부하며 타인에게 의지하지 말고 당당하게 합법적인 절차로 문제를 해결해야 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오빠로부터 상대방의 연락처를 받아 몇 차례 준비한 끝에 마침내 용기를 내어 직접 통화했습니다. “당신이 우리를 얼마나 괴롭혔는지 모릅니까? 도대체 무슨 태도를 바라는 겁니까? 우리는 변호사와 상담했고, 판결문에 최소한 열 군데 법적인 오류가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관련 법규에 따르면 압수하지 않은 물품은 반드시 돌려줘야 합니다.”
그는 제 단호한 태도와 법적 근거를 듣고는 즉시 물품 반환에 동의했습니다.
저는 관련 정책을 전달하며, 법적인 규정에 따라 압류 목록을 제공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상대방은 해당 정책을 확인한 후 우리가 법을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자, 불법적으로 압류된 목록을 사진으로 찍어 보내주었습니다. 우리는 목록에 명시된 물품을 순차적으로 반환받기로 약속했고, 그는 계속 이사 문제로 인해 일부 물품이 분실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저는 “찾을 수 있는 물건부터 우선 돌려주고, 나머지는 천천히 찾아달라”고 제안했습니다. 결국 컴퓨터, 태블릿, 휴대폰 등 주요 물품부터 먼저 반환받았습니다.
이후 남은 물품 목록을 다시 전달하며 추가 반환을 요구했고, 상대방은 일부 물품을 추가로 찾아 돌려주었습니다. 떠나기 전 저는 “당신의 사건 처리는 법적 근거가 없으며, 퇴직한 후에도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그는 난처한 듯 쓴웃음을 지으며 대답하지 못했습니다.
이번 일을 통해 법률의 힘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습니다. 상대방은 우리가 그의 위법 사항을 알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자마자 긴장하며 더 이상 저항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이 법을 어긴 것에 대해 고발하거나 신고할까 봐 두려워했던 것입니다.
저는 이후 《신문출판사 50호 문건》, 《공통 39호 문건》에서 발표한 14개 사교 조직 명단, 변호사의 무죄 변론서 등을 컬러로 인쇄해 제본한 후 지역사회 주민위원회 서기에게 보여주었습니다. 서기는 문서를 모두 읽고도 아무런 말이 없었습니다. 이어서 해당 문서의 전자 파일을 지역 파출소 민경에게 전달하며 상급 기관에 보고해 우리의 위법 근거를 알려달라고 요청했으나, 현재까지 답변은 오지 않았습니다. 민경은 정치법률위원회(정법위)에 문의해 달라고 했지만, 지금까지도 소식은 없습니다.
이후 지역사회 파출소 경찰이 우리를 찾아왔을 때 합당한 이유를 찾지 못해 어쩔 수 없이 우유 한 통을 사 와서 자신의 직무를 이행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우리는 해당 문서들을 들고 사법소, 법률상담센터, 민원실, 법원, 검찰청 등 각 기관의 무료 변호사 상담 창구를 돌며, 마치 상담하는 척하며 그들에게 물었습니다. “우리가 대체 무슨 법을 어겼다는 겁니까?” 그리고 판결문상의 명백한 오류와 국가 관련 법률 정책을 설명하며 “파룬궁에 대한 탄압은 장쩌민 일당의 정치적 결정일 뿐, 법적 근거가 전혀 없다”는 진상을 지혜롭게 전달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사람에게는 양심이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국가의 정책이 엄연히 존재하는데도, 일부 사람들은 상부의 명령에 굴복해 자신의 밥벌이를 위하여 악행을 저지르며, 장쩌민의 말을 마치 성전처럼 따랐습니다. 그러나 진상을 알게 되면 누구나 양심이 깨어나 더 이상 악행에 가담하지 않고, 미래에 책임을 질까 두려워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저는 마음속에 정의로움과 떳떳함이 있다면 어디서든 당당히 말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스승님의 가호 아래 내면의 두려움도 크게 사라졌습니다. 평범한 사람이라도 억울함을 당하면 곳곳을 뛰어다니며 호소할 텐데, 우리는 죄도 없으면서 왜 당당히 자신의 억울함과 재산 반환을 요구하지 못할까요? 주변 동료들 중 일부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이유는 아마도 법을 모르거나, 보복을 두려워하거나, 두려움에 사로잡혀 정의감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만약 우리 모두가 두려움을 버리고 각 기관에 당당히 진상을 알린다면, 수련 환경은 분명히 큰 변화를 맞이할 것입니다.
이상은 저의 작은 체험담으로,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수련생 여러분의 자비로운 지적을 부탁드립니다.
원문발표: 2025년 10월 15일
문장분류: 수련교류
원문위치:
正體 https://big5.minghui.org/mh/articles/2025/10/15/501002.html
简体 https://www.minghui.org/mh/articles/2025/10/15/50100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