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씬성(新生, 중국)
[밍후이왕] 사부님께서 우리에게 가르쳐 주셨다. “참음(忍)은 心性(씬씽)을 제고하는 관건이다. 화가 나 원망하고, 억울해하면서 눈물을 머금고 참는 것은 속인이 해를 입을까 염려하는 참음이다. 화를 내거나 원망함이 전혀 생기지 않으며 억울함을 느끼지 않는 것이야말로 수련자의 참음이다.”[1] 그렇다면 어떻게 수련자의 참음에 이를 수 있을까? 나는 法輪大法(파룬따파)를 20여 년 수련했지만, 여전히 억울해하면서 눈물을 머금고 참는 상태에 머물고 있으며, 수련자의 참음에는 이르지 못했다. 그렇다면 이런 상태를 조성한 원인은 무엇일까?
최근 신체에 일부 문제가 나타났는데, 처음에는 수련이 느슨해져 조성된 것으로 생각했다. 나는 자신의 집착심을 찾아보았는데 적지 않은 집착심이 있었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를 풀지 못했다. 그 뒤 나는, 수련을 20여 년이나 했으니 온종일 신념(神念)을 움직여야 하며, 인념(人念)은 움직이지 말아야 하고, 더욱이 악념(惡念)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신념은 무엇이고, 인념은 무엇이며, 악념은 무엇인가? 20여 년을 수련했지만, 아직도 그런 것을 이해하지 못했다. 신념, 인념, 악념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신성(神性)을 수련해 낼 수 없다.
1. 신념(神念)에 대한 이해
많은 시간 조용히 생각한 끝에 홀연히 깨달았다. 신념은 자비(慈悲), 관용(寬容), 넓고 큰 도량(大度)이 아닌가? 홍대한 관용, 모든 생명에 대한 자비, 평상시 발생하는 모든 일을 큰 도량으로 대한다면, 그것이 바로 신념이 아닌가? 그렇다! 사부님께서 말씀하셨다. “천상(天上)에는 왕이 아주 많다. 여러분이 아는바 석가모니가 말하기를 여래불(如來佛)은 마치 갠지스강의 모래와 같이 많다고 했는데, 인도의 갠지스강에는 얼마나 많은 모래가 있는가? 어찌 이뿐이겠는가? 이는 석가모니가 형용해 말한 한마디이다. 매 여래불은 모두 법왕(法王)으로, 그것은 불가(佛家)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다. 불가는 단지 보편적이고 아주 많은 신(神) 중 하나일 뿐이다. 얼마나 많은 신이 있겠는가? 얼마나 많은 이런 왕(王)이 있겠는가? 만약 매 왕이 한 가지 일이 발생할 때 모두 당신들과 같이 이렇게 한다면, 잘못된다.”[2] “그들에게는 그들이 위치하고 있는 층차(層次)의 상태와 부합되지 않는 이런 논쟁이 없다. 물론 그들은 진리(真理)를 보아낼 수 있고 가장 좋은 것이 어떤 것인지를 보아낼 수 있지만, 간혹 일부 인식 면에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렇다 해도 그들은 논쟁하지 않는다. 그것은 일종의 홍대(洪大)한 관용(寬容)이고, 생명에 대한 자비(慈悲)이며, 일체를 모두 선의(善意)로 이해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인간의 말로 하면 다른 사람을 모두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때때로 우리는 아주 강한 속인의 마음을 가지고 쇠뿔 속으로 파고 들어가서 늘 빠져나오지 못하는데, 생각하면 할수록 더욱 집착하게 되고, 생각하면 할수록 당신의 이 마음은 더욱 들끓게 되며, 생각하면 할수록 그 마(魔)에 더욱 이용당하게 된다.”[2]
사부님의 설법을 읽고 나는 분명히 알게 되었다. 홍대한 관용, 생명에 대한 자비, 평상시 발생하는 모든 일을 큰 도량으로 대함이 바로 신성(神性)이며, 우리 수련인의 마음에서 타인에 대한 관용의 마음이 나오면 그것이 바로 신념이고, 어떤 생명에 대해서도 자비로운 마음이 신념이며, 발생하는 모든 일을 큰 도량으로 너그럽게 받아들인다면, 바로 신념이 움직인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자 동료 수련생, 속인과 오랜 원한, 오랫동안 눈물을 머금고 참으면서 생겨났던 모든 억울함 그리고 화나고 미워했던 마음을 내려놓게 되었다. 신체도 눈에 띄게 좋아졌고, 사부님께서 좋지 않은 많은 것들을 없애주셨다.
2. 무엇이 인념(人念)인가?
신념이 무엇인지 깨달은 후, 나는 또 인념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다. 인성(人性)이 사(私)하고, 나를 위한 이기적인 마음에 부합하면 인념이다. 다른 사람과 모순이 발생했을 때, 다른 사람의 마음을 너그럽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단지 이 일은 당신의 잘못이라고만 생각하며, 나를 왜 이렇게 대하지? 라고 생각한다, 나는 잘못이 없고 당신이 잘못이다, 혹은 나의 이익을 다른 사람이 침해했다, 다른 사람은 절대 나를 속여서는 안 된다 등등, 일련의 좋지 않은 생각이 모두 인념일 것이다.
비록 이런 생각을 말로 하지 않았더라도, 이미 인념을 움직였고, 한편으로 자신은 수련인이므로 참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바로 눈물을 머금고 참는 것에 불과하다. 오히려 마음속으로는 화를 참지 못하는데, 계속되면 화가 가슴에 쌓이고, 가슴에 통증이 생기며, 더 심하면 신체 다른 부위에 비정상적 상태를 가져온다. 오랫동안 신념이 없고 인념만 있어서 신체에 비정상적 상태가 나타난 것이다.
여기서 병업관(病業關)에 처한 동료 수련생을 도운 사람의 사례를 언급하고자 한다. 그는 줄곧 동료 수련생을 질책했다. 이것을 잘못했고, 저것을 잘못했다. 자신은 오히려 그를 도와 집착을 찾아 주었다고 생각했다. 사실 수련생을 도와준 것이 아니고, 오히려 마난(魔難)을 가중시킨 것이다. 왜냐하면 그를 질책하는 과정에서 신념을 움직이지 않고, 인념을 움직였기 때문이다.
동료 수련생도 비록 말은 하지 않았지만 마음속으로 화를 냈다면, 눈물을 머금고 참은 것으로 표현된다. 우리가 동료 수련생을 도울 때 마땅히 그가 원망하는 마음을 버리고, 신념을 움직여 넓은 아량으로 일체를 관용할 수 있도록 일깨워줘야 한다. 동료 수련생이 그에게 발생한 모든 일을 관용하고 자비롭고 큰 아량으로 처리할 수 있다면, 그의 병업관도 매우 빨리 넘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일부 병업관을 넘긴 수련생을 알고 있는데, 많은 수련생의 마음속에는 모두 다른 사람을 원망하는 마음이 있었다. 제거하지 못하면 병업관이 장기간 지속되며, 심한 경우 병마가 육신을 가져가기도 한다.
나는 대부분의 상황이 오랫동안 신념이 없고 인념이 있어 조성된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따라서 수련인이라면 마땅히 홍대한 관용, 일을 대하는 큰 아량, 생명에 자비로운 신념(神念)을 구비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인념을 배척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3. 무엇이 악념(惡念)인가?
나는 사람에게 인념이 생겨나고, 자신을 스스로 통제하지 못해 인념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성질을 부릴 때 바로 마(魔)에게 이용당하는 것이며, 이때 마성의 대폭발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때 인념이 악념으로 변한 것이다.
사람이 악념에 통제되면, 비이성적으로 화를 내고, 다투고, 심지어 때리고 싸운다. 이러한 악념은 우리 수련인에게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 우리가 평소 동료 수련생을 도울 때 계속 질책한다면, 실제로 이 방법은 무의식적으로 인념을 움직이는 것으로, 인념이 마에게 이용당해 동료 수련생에게 많은 마난을 조성하게 된다. 나는 이 부분에서 깨달은 것이 있다. 단지 우리가 말로 다른 사람을 불편하게 하거나 불쾌하게 하더라도, 그런 말을 하도록 하는 생각이 바로 악념이다.
이런 생각을 한 후 나는 가능하면 인념을 배척하려고 노력했지만, 어디 앉기만 하면 머릿속에 항상 어떤 사람이 떠오르고, 잠시 후 누구누구가 나에게 좋지 않게 대했으니 그를 상대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한다. 잠시 후에는, 누구누구가 나에게 좋지 않은 말을 했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 어제 속아서 물건을 구매한 것이 생각나고, 누구누구가 나에게 화낸 것이 생각나서 마음이 괴롭다. 머릿속은 이런 인념이 가득하고, 마음은 대단히 혼란스러워 안정을 찾지 못한다. 이때 대법 책을 꺼내 보면 잠시 나아지지만, 대법 책을 내려놓으면 또 혼란해지고 다시 같은 문제를 생각한다.
여기서 깨달은 것이 있다. 제고하려면, 머릿속이 신념으로 채워져야 한다. 그래야 마음에 홍대한 관용이 생겨나고, 나에게 좋지 않게 대했던 사람이나 일을 널리 이해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이나 일에 대한 원망을 내려놓고, 지속적으로 대법 책, 밍후이왕 교류 문장을 읽어, 대법의 법리를 머리에 가득 채워야 한다. 나는 갑자기 가슴에서 한 덩이 혼탁한 기(氣)가 빠져나가고, 곧바로 몸이 편안해지며, 며칠 동안 몸을 괴롭히던 증상이 신속히 사라지는 것을 느꼈다. 한동안 식사도 하기 싫었는데 식욕도 좋아졌다.
이제 나는 눈물을 머금고 억지로 참지 않을 수도 있고, 진정 ‘억울함을 느끼지 않는 참음’을 해낼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정말 일념이 좋고 나쁨을 결정한 것이 아닌가!
이상은 ‘무엇이 신념이고, 인념이고, 악념인가?’에 대한 나의 얕은 인식이다. 바르지 못한 곳이 있다면 수련생 여러분이 자비롭게 바로 잡아 주기 바란다. 감사합니다.
주:
[1] 리훙쯔(李洪志) 사부님 저서: ‘정진요지-무엇이 참음인가’
[2] 리훙쯔(李洪志) 사부님 저서: ‘각지설법2-2002년 보스턴법회설법’
원문발표: 2020년 12월 25일
갱신일자: 2020년 12월 27일
문장분류: 수련교류
원문위치: https://www.minghui.org/mh/articles/2020/12/25/41696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