简体 | 正體 | 대법서적

“어투, 선한 마음, 도리(道理)를 더하면”을 깨닫다

글/ 중국 대법제자 징융

[밍후이왕] 어느 한번 법 공부 중에서 사부님의 저작 ‘정진요지’ 중의 한 단락 법을 배웠다. “일 처리 중의 어투, 선한 마음, 도리(道理)를 더하면 사람의 마음을 개변시킬 수 있으나 명령은 영원히 할 수 없다!”[1]

정법 노정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대법제자가 잘 협조해야 조사정법(助師正法) 중생구도(衆生救度)의 힘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하면 자기 어투가 더 평온하고 더 선한 마음이 생길 수 있고 어떻게 해야 이치를 말할 수 있을까? 사람 관념이 아니라 사부님께서 우리에게 알려주신 법리를 말할 수 있을까?

한번은 아내(수련생)와 교류할 때 나는 나의 말하는 어투가 그다지 좋지 않고 선한 마음이 부족하고 무슨 이치도 말하지 못한 것을 발견했다. 나는 자기를 찾아야 한다. 이것은 어떻게 말하는가 하는 문제만이 아니라 수련 상태의 한 방면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1. 어투

나는 조급하기에 나의 어투가 좋지 않다고 깨달았다. 왜 조급할까? 나에게 결과를 구하는 마음이 있기에 구하고자 했던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조급했다. 무슨 결과를 가지려 한 건가? 교류할 때 나의 마음에 ‘자아(自我)’ 표준이 있었다. 아내는 이렇게 생각해야 하고 저렇게 해야 한다. 이 결과가 지지부진하고 나의 마음속의 표준에 부합되지 않으면 마음이 조급하여 어투가 좋지 않았다. 이 ‘자아’라는 물건이 충격을 받으면 나는 조급해지고 어투가 좋지 않다. 아내에게 정이 있기에 잠재의식 중에 상대방은 다른 사람이 아니라 가족이므로 심한 말을 해도 무슨 불리한 것이 없기에 이런 생각으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에 대한 요구 표준을 낮추었다. 대법제자로서 나는 어떤 정황에서든 자기에게 분별하는 마음이 생기지 않도록 요구해야 한다. 진수(眞修)하려면 나는 나에 대한 요구 표준을 낮추지 말아야 한다.

나는 또 다른 한 가지 문제를 사고했다. 무엇이 ‘자아’인가? 나의 지금 이해는 매 사람이 사물에 자기 인식과 견해가 있는데 이것은 정상적이다. 그러나 자기 인식과 견해를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거나 상대방에게 강렬하게 자기와 같은 인식을 요구하면 이때 상대방은 압력을 느낄 것이다. 이것은 우리를 조종하고 있는 이 ‘자아’에서 나온 것일 수 있다. 사실 이것은 진짜 내가 아니다. 정에서 파생되어 나온, 좋지 않은 것이다.

나는 이전의 교류 중에서 ‘자아’라는 물건이 작용을 일으킬 때 나에게 이런 상태가 표현되어 나올 때가 있는 것이 생각났다. 내가 말하면 당신은 들어야 한다. 당신이 듣지 않으면 나는 좋아하지 않는다. 내가 말할 때 당신이 들었다면 당신은 알아들어야 한다. 알아듣지 못해도 나는 좋아하지 않았다. 이게 끝이 아니다. 내가 말할 때 당신이 들었고 알아도 들었다. 그럼 당신은 고쳐야 하는데 변화가 없으면 나는 또 좋아하지 않았다. 이때 강렬한 자아의 작용으로 어투를 파악하기 어렵다.

그럼 교류 중의 어투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내가 지금 깨달은 것은 우리가 어떤 한 문제를 교류하려 할 때 먼저 일에 부딪혔을 때 안으로 찾는 각도에서 나에게 유사한 문제가 있지 않은지? 자기에 대한 요구 표준이 너무 낮지 않은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즉 먼저 자기는 수련인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이때 수련생에게 말하는 어투가 좀 평온해질 수 있다.

사존의 법에서 말씀하신 “하여도 구하지 않으니”[2]에 따라 일깨워주고 선을 권하는 각도에서 수련생과 교류하고 자기를 많이 일깨워주어야 한다. 내 생각은 지금 층차에서 법에 대한 이해이고 층차가 같지 않기에 인식도 같지 않을 것이다. 나는 아직 수련생의 층차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기에 수련생이 제기한 생각을 나는 이해하지 못할 수 있고 쉽게 받아들이지 못할 수 있다.

사부님께서는 우리에게 알려주셨다. “수련의 길은 같지 않으나 모두 대법 가운데 있도다”[3] 서로 다른 수련의 길에는 서로 다른 수련 상태가 나타날 것이다. 한 틀에서 찍어낸 것과 같은 것은 불가능하다. 완전히 일치할 것을 강요하는 것은 법에 부합되지 않는다.

한 수련생이 이런 예를 들었다. 8층 높이만큼 수련한 사람이 4층에 있는 사람이 하는 일이 고층차 법에 부합되지 않는다고 볼 것이다. 그러나 4층 높이만큼 수련한 사람이 8층 사람을 보면 하는 방법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 자신이 4층까지 수련했는지 아니면 8층까지 수련했는지를 확정할 수 없다. 그러나 긍정할 수 있는 것은 수련 중의 사람이 줄곧 ‘자기의 어떤 인식이 옳고 상대방이 틀렸다.’고 강조하는 것은 대법 요구에 부합되지 않는다. 이런 태도가 있으면 우리 교류 중의 심리 상태와 어투는 좀 더 평온해질 것이다.

2. 선한 마음

우리가 자아의 표준으로 나의 관념과 인식에 부합되면 기뻐하고 부합되지 않으면 좋아하지 않는다면 사람에게 선한 마음을 줄 수 없다. 예를 들면 내가 어머니(수련생)와 교류하는 과정에 어머니가 대법 법리를 더 잘 이해하고 대법을 더 잘 수련하고 실증할 수 있으면 ‘나’의 생각과 표준에 부합되어 기뻐한다. 그 교류 기점은 상대방을 위한 것이 아니기에 착한 마음이 체현되기 어렵다.

수련생과의 교류 중에 수련생이 이런 말을 했다. 어떤 학부모 수련생은 아이를 교육할 때 방관자에게 주는 느낌이 긍정적인 교육 효과가 아니다. 심지어 아이가 잘되라고 한 말이라고 느껴지지 않고 설교함과 동시에 아이에게 이것도 잘하지 못했고 저것도 남보다 못하다고 아이를 원망하는 일면이 더 많다는 감을 준다. 냉정하게 아이에게 잘못된 원인을 분석하고 한 어른, 대법제자가 이성적으로 도움을 준 것이 아니고 아이에 대한 학부모의 선한 마음도 보이지 않았다. 이런 교육 방법, 이런 교류 방식은 사부님의 법 중의 요구에 부합되지 않기에 흔히 이상적인 효과에 도달할 수 없다.

우리는 대법을 수련하는 생명이고 미래 천국 세계의 주와 왕을 성취할 생명이다. 사존께서는 우리에게 알려주셨다. “자비는 신의 영원한 상태”[4] 사부님께서 말씀하신 이 자비심은 사(私)를 기점으로 하는 자아를 내려놓고 조금씩 닦아내야 한다고 나는 깨달았다. 다른 사람과 교류 중에 점점 상대방을 위해 생각하게 됐고 상대방이 알아들을 수 있는지, 잘 받아들이는지, 얼마나 큰 압력이 있는지, 법의 표준에 따라 정말 상대방에게 유익한 것인지를 보아야 한다. 조사정법, 중생구도에 대한 영향을 보아야지 줄곧 어떻게 자기에게 유리한가만을 보아서는 안 된다. 꾸준히 견지하면 우리의 자비심도 조금씩 승화될 것이고 상대방은 당신의 말에서 자비와 자선심을 느낄 것이다. 이렇게 보면 진정한 자비와 선은 수련이 일정한 층차에 도달한 후의 자연스러운 표현이 아닌가?

3. 이치

교류 중에 언급한 이치를 우리는 사람의 관념과 표준을 내려놓고 사부님의 관련 설법을 청해 말해 볼 수 있다. 법으로 다른 사람을 혼내는 것이 아니다. 먼저 자기 생각과 방법이 대법에 부합되는지를 대조한 다음 수련생과 공동으로 우리의 언행과 사유를 대조하고 우리가 대법 표준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보고 어떻게 이 차이를 줄일 것인지를 교류하는 것이다.

우리는 수련생과 이런 문제를 연구 토론할 수 있다. 어느 때 법으로 우리 언행과 사유를 대조해야 할지, 어떻게 법으로 대조하고 잠재의식 중에 자기에 대한 표준 요구를 어떻게 분명히 볼 것인지 등을 수련생에게 냉정하게 일깨워 줄 수 있다. 사람 마음을 품고 집착을 내려놓지 않으면 잠시 명·리·정의 욕망을 만족할 수 있지만, 우리의 착실한 수련과 중생구도, 대법을 실증하는 데는 어떤 해로움이 있는지? 등등. 한 생명이 진정으로 이해관계를 안다면 높은 표준에 따라 주동적으로 고생을 겪고 바로잡아 진정하게 제고되리라고 나는 믿는다.

참고로 질투심을 닦아버린 사례를 들면서 교류 중에서 이치를 말한 일종 방식을 말하겠다.

우리는 수련생과 교류해 볼 수 있다. 우리의 마음이 평형을 이루지 못할 때 우리는 마음을 조용히 하고 사부님께서 설법에서 말씀하신 “다른 사람이 만약 잘되면, 다른 사람을 위해서 기뻐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속으로 평형을 이루지 못한다.”[5]의 상태인지를 보아야 한다. 그렇다면 질투심이 표현된 것이다. 발견하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우리는 이 질투심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보아야 하고 다음 그것의 해로움을 보면 우리의 중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법 공부 중에서 우리는 “과거에 실시했던 절대평균주의”[5]는 질투심의 근원임을 알 수 있다. 우리 잠재의식 중에 모든 사람이 마땅히 같은 생명의 자취여야 한다고 여기지 않았는지를 보아야 한다. 다른 사람이 우리 심성보다 좋고 우리보다 돈이 있고 세력이 있으며 더 아름답고 원만한 가정이 있으면 평형을 이루지 못하고 무엇 때문에 그에게는 있지만 나에게는 없느냐고 생각할 것이다. 그중의 업력 응보, 인과 관계를 사부님께서 대법에서 명확하게 말씀하셨다. 우리는 이런 법리를 잊어버렸거나 완전히 믿지 않아 평형을 이루지 못한 것이 아닌가? 아니면 마음에 ‘사람마다 마땅히 절대 평균을 이루어야 한다.’라는 생각 때문에 평형을 이루지 못한 것이 아닌가?

우리는 자기가 예전에 한 말, 한 일, 움직였던 생각을 회고하면서 질투심이 작용을 일으켰는데도 모르고 있었는지를 보아야 한다. 다른 수련생에게 우리 예전의 질투심 표현을 가르쳐달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많이 대조하면 우리는 이 질투심에 더 익숙해질 수 있다. 이러면 그것이 또 뛰쳐나와 우리를 교란하려 하면 우리는 더 빨리 잡을 수 있고 이 사람 마음에 통제되어 사고하고 일 처리하지 않게 된다.

우리가 이 질투심 문제의 나쁜 결과와 엄중성을 알면 우리가 질투의 교란에서 벗어날 결심을 견정하게 할 수 있다.

다른 방면의 사람 마음과 집착, 관념, 자기에게 비교적 낮은 표준으로 요구하는 등도 이렇게 사부님의 대법에 비추어 볼 수 있다. 어떤 사람이 우리에게 앞에 물구덩이가 있는데 안에는 모두 더러운 물이라고 알려주었을 때 누가 듣고 누가 믿으면 주동적으로 밟지 않는 것과 같다. 이 물구덩이를 밟지 않는 행위는 내심에서 나온 자발적인 행동이다. 강제, 억지가 없고 비위를 맞추거나 형식으로 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기 위해 하는 것도 아니다. 진상을 안 후 주동적으로 자신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정상적인 반응이고 이성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다른 각 방면의 수련 역시 이런 체현이다.

사람 마음, 집착의 분쟁 속에서 벗어나는 중에서 우리는 고생을 겪어야 한다. 적지 않은 수련생이 교류 중에 어떤 때 이런 고생을 싫어하는 기미가 있었다. 우리는 이런 수련생과 이렇게 교류할 수 있다. 여전히 더러운 물구덩이 사례인데 우리가 에돌아가거나 더러운 물구덩이를 건너뛸 때 반드시 힘을 들여야 한다. 누구도 번거롭다고 뛰지 않거나 에돌지 않거나 하지 않을 것이다. 진수하려면 고생을 직면해야 한다. 이렇게 보면 진상을 알고 복 받은 사람은 진상을 알고 구원받은 속인뿐만 아니다. 대법제자도 진정하게 법에서 우주 진리를 깨달으면 마찬가지로 우리의 착실한 수련을 추진하고 고생을 겪을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보기에는 사부님께서 우리에게 일 처리와 교류 방법을 알려주신 것 같지만 정말 법의 표준에 따라 일을 잘 처리하면 우리도 수련해 낼 것이다! 이것은 대법이 원용(圓容)과 현묘함을 펼쳐 보여준 것이다!

이상은 개인의 현 단계의 깨달음이기에 적당하지 않은 점은 수련생께서 바로잡아주기 바랍니다.

사부님, 감사합니다! 수련생 여러분 감사합니다! 허스(合十)!

주:
[1] 리훙쯔(李洪志) 사부님의 저작: ‘정진요지-청성(淸醒)’
[2] 리훙쯔 사부님의 시: ‘홍음-도(道) 중에서’
[3] 리훙쯔 사부님의 시: ‘홍음2-가로막지 못하리’
[4] 리훙쯔 사부님의 시: ‘홍음3-왜 거절하는가’
[5] 리훙쯔 사부님의 저작: ‘전법륜’

 

원문발표: 2019년 12월 23일
문장분류: 수련교류
원문위치: http://www.minghui.org/mh/articles/2019/12/23/397359.html

ⓒ 2025 명혜망.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