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서적 |

동수 지간에 모순을 어떻게 대할 것 인가에 대하여 또 이야기 하다

〔명후이왕〕동수의 문장을 본 후, 우리 지역 동수간에 나타난 모순이 지난해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제거되지 않은 게 생각났다. 동수 사이의 모순이 나타나는 현상은 다만 한 지역만이 아니라 매우 많은 지역이 모두 그러하다. 사실 모순이 있는 것은 정상적이다. 왜냐하면 여러분들은 모두 수련 중의 사람들이기 때문에 모두 사람의 마음이 존재하므로 필연적으로 모순과 씬씽 마찰이 있을 수 있으 므로 우리는 반드시 모순을 제고의 기회로 간주해야 한다.

동수 사이에 모순이 나타나는 것은 매우 정상인 것으로 우리들이 수련해야 할 길이다. 수련생이 사람 마음이 있으면 명백히 하고 양해해야 하며, 자신이 사람 마음이 있으면 그것을 닦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우리는 상대에 대해서는 관용해야 하고, 자신에 대해서는 엄격해야 한다. 속인 중에 한마디 말이 있다: ” 엄하게 자기 단속을 하고, 관대(寬大)한 태도로 다른 사람을 대하다( 严于律己,宽以待人)” 우리는 수련인이다. 무엇 때문에 자신이 신처럼 수련생을 대하지 못하고, 반대로 동수에게 신처럼 자신을 대하라고 요구 하는가?

매우 많은 동수들의 심목 중 동수간에 모순이 발생하는 것은 정상적이 아니라고 생각 하면서, 동수에게서 사람 마음이 나타나는 것을 보게 되면 용인할 수 없다고 느낀다. 그리하여 동수 사이에 사람 마음이 충돌하여 발생한 모순에 매우 집착 하는데, 이런 관념들이 장기간 수련생을 갈라놓음을 조성 하였다. 사실 우리들이 이런 상황에 부딪히면, 응당 즉시 동수 역시 수련인이고 사람 마음이 있게 되므로 우리는 따지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해야 한다. 그가 이렇게 말하는 것은 (혹은 이렇게 하는 것)은 나의 모종 사람 마음을 건드린 것이 아닌가?고 생각해 보아야 한다. 때로는 우리는 일의 과정 중 자신이 한 말과 심태를, 특히 자신의 내심 활동을 잘 분석해 본다면 원인을 찾아 낼 수 있다. 혹은 상대방의 각도에서 상대의 감수를 고려한다면 곧 명백해 진다. 때로는 정말 찾을 수 없으면 자신이 왜 괴로운가를 생각해야 한다. 괴로운 것이 곧 사람 마음이며, 사람 마음이 없다면 괴로울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모순이 오는 것은 딱 좋은 것으로 곧 바로 사람 마음을 제거하는 좋은 기회이다.

하늘의 신들은 모두 홍대한 관용으로 다른 생명을 대한다. 수련 중의 대법제자인 우리는 반드시 점차적으로 이러한 자비와 관용을 구비 하여야 한다. 이러한 홍대한 자비와 관용이 있다면 우리는 어떠한 모순인들 해결 할 수 없겠는가? 또 무엇이 우리의 정체형성을 저애할 수 있단 말인가”

수련 와중의 모순은 속인 중의 모순과는 다르다. 우리는 또 배후에서 동수에게 정의( 定义)를 내리는 말을 하여 동수의 마당에 좋지않는 물질을 가하는 현상을 면해야 한다.

문장 완성: 2010년 7월1일

문장 분류: 수련마당문장 위치: http://www.minghui.org/mh/articles/2010/7/1/226258.html

ⓒ 2025 명혜망.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