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서적 |

구세력의 안배에 빠지지 말자

글/ 중국 대법제자

[명혜망] 오랜 기간 한 수련생과 교류하면서 그 수련생의 일부 언행이 법에 맞지 않는다고 느껴 마음에 걸렸습니다. 남의 부족함만 본다는 생각이 들어 내려놓으려고 했지만 잘 안 됐습니다. 다른 사람의 부족함을 보는 마음이 계속 튀어나와서 수시로 그것에 이끌려 다니며, 항상 법으로 그녀의 말을 가늠하곤 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그녀를 피할지 생각하며, 마음속으로는 그녀와 접촉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어느 날 법을 외우다가 문득 환히 깨달았습니다. ‘내가 항상 다른 사람의 부족함을 내려놓지 못하는 것, 그것은 다른 사람의 집착에 집착하는 것이 아닌가? 그런데 그녀의 그런 집착들은 모두 구세력이 안배한 것이다. 내 마음속에 항상 그녀의 집착을 담아두고 놓지 않는 것, 그것은 구세력의 안배를 인정하는 것이 아닌가? 구세력의 안배 속에서 수련하고 있는 것이다. 내가 만약 그것을 보지 않고, 자신을 돌아보며 안으로 찾는다면, 이것이 바로 법의 요구에 부합하는 것이고, 사부님께서 안배하신 길을 걷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구세력을 부정하는 것이다. 최소한 이 문제에서 나는 구세력의 안배에 부합하지 않았고, 바른 수련의 길을 걸었다. 이것을 내려놓는 것과 내려놓지 못하는 것, 정반대인 두 갈래 길, 하나는 멸망의 길이고, 하나는 하늘로 통하는 길이다.’ 이런 생각이 들자 마음이 밝아졌고 수련생의 부족함도 담담하게 볼 수 있게 됐습니다. 이전에 내려놓지 못했을 때는 마음이 항상 우울했었습니다.

전에 어떤 수련생이 박해받는다는 소식을 들으면, 첫 번째로 떠오르는 생각이 ‘이 수련생이 평소 법에 맞지 않는 어떤 집착과 사람 마음을 갖고 있었나, 분명 구세력에게 이런 약점들을 잡혔기 때문에 박해를 당하는 것이다’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바르지 못한 생각은 구세력의 박해가 옳다고 인정하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또 ‘이 수련생이 나와 연락이 있었나? 나는 연루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면서 두려움이 생겨 자신의 안전을 생각했습니다. 이런 사고방식도 구세력의 안배를 인정하는 것이고, 구세력의 박해 논리를 따르는 것입니다. 구세력이 수련생에게 안배한 이런 난들을 부정하지 않았고, 그것들을 부정하고 배제하면서 안으로 찾아 ‘수련생이 보여준 문제가 나에게도 동일하게 존재하는 것은 아닐까’라고 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이미 법에 있지 않은 것이고, 무형중에 구세력의 안배를 인정함으로써 수련생이 관을 넘는 데 어려움을 가중시킨 것입니다.

만약 법의 요구에 서서 문제를 가늠하고, 다른 사람의 부족함을 본 후 자신을 수련한다면, 법에 부합하는 이런 정념 자체가 구세력에 대한 부정입니다.

사실 난 중에 있는 수련생은 우리의 정념의 가지(加持)를 극도로 필요로 합니다. 비록 우리가 집을 나서서 수련생을 도울 수 없거나, 시간을 내어 수련생을 위해 정념을 발할 수 없다고 해도, 최소한 사상 관념상에서 박해의 논리를 따라 문제를 생각하지는 말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수련생의 그 이른바 ‘난관’ 역시 구세력이 안배한 훼멸 과정 중의 한 고리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우리 모두가 이렇게 할 수 있다면, 누구의 조율도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힘을 한데 모아 형태를 이루어낼 것이고, 그것은 구세력에게 치명적인 반격이 될 것입니다. 또한 우리 전체의 응집력을 보여주는 것이며, 수련생이 난에서 벗어나는 데 관건적인 긍정적 추진 작용을 할 것입니다. 이것이야말로 사부님께서 바라시는 것입니다!

매우 전형적인 사례가 있습니다. 우리 지역에 한 수련생이 평소 색욕심이 매우 심하게 나타나서 어떤 법공부 팀도 그를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이후에 이 수련생은 중공 악당에 납치된 후 박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당시 법공부 팀 전체 수련생의 법공부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그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면 그것도 무리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때 관련된 법공부 팀의 수련생들은 사실 모두 안으로 자신을 찾아봤어야 했습니다. 함께 법공부를 하는 것은 서로 촉진하며 전체적으로 제고하는 것이고, 수련생들 사이에 모순이 나타났을 때는 자신을 수련하고 자신을 보는 것이 아닙니까? 그 색욕심은 수련생의 진정한 자아가 아니라 후천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구세력이 강화하고 확대한 것이므로 마땅히 그것을 부정하고 인정하지 말았어야 했습니다. 그런데 모든 사람이 이 색욕심을 수련생 자신의 것으로 인정하기만 했을 뿐, 이런 일이 우리 가운데서 발생한 것은 분명 우리가 수련해야 할 부분이 있기 때문이고, 그렇지 않으면 이 일이 우리에게 닥치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만약 모두가 이렇게 안으로 자신을 찾을 수 있었다면 우리에 대한 법의 요구에 부합했을 것이고, 일에 전기가 있었을 것이며, 어떤 법공부 팀도 그를 받아들일 수 없는 지경에까지는 이르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런 사상은 여전히 박해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고, 구세력이 안배한 난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입니다.

한 교류 문장에서 언급한 일이 저에게 매우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많은 수련생들이 함께 법회를 열었는데, 모두 애매모호한 말만 하고 상태가 법에 있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때 경찰차가 출동하여 이쪽으로 달려오고 있었는데 이 위급한 순간에 그중 한 수련생이 법에 맞는 말을 한마디 하자, 저쪽 경찰차가 길을 잃고 어디론가 가버렸다는 것입니다. 같은 이치로, 이 일에서도 비록 일부 수련생만이라도 사상이 법의 요구에 부합했다면, 일은 아마 다른 모습이었을 것입니다. 비록 이 일은 당사자인 수련생 자신이 주요 원인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지만, 다른 각도에서 보면 구세력이 이렇게 안배한 것은 수련생의 색욕심을 이용하여 우리 전체 수련생의 마음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모두가 자신을 찾고 자신을 수련할 수 있는지를 시험한 것이 아닐까요? 이때 구세력은 의기양양하게 “봐라, 우리의 시험이 맞지 않는가? 그들은 자신을 수련하지 않고 있다”라고 말했을 것입니다.

이 화제를 쓴 것은 결코 비난할 의도가 아닙니다. 저 개인도 그 안에 있었기 때문에 수련인이 어찌 잘못과 결점이 없겠습니까? 중요한 것은 문제를 인식하고, 수련에서 끊임없이 자신을 수정하여 제고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리 수련생들은 평소 서로 접촉할 때도 서로 정념을 더해주어야 하고, 항상 사람의 마음, 사람의 생각, 사람의 정으로 다른 수련생의 부족함을 대하지 말아야 하며, 다른 사람에게 함부로 어떻다고 정의 내리지 말아야 합니다. 구세력에게 끌려다니지 말고, 정념으로 구세력이 수련생의 사람마음과 집착을 안배한 것을 부정해야 하며, 진정으로 안으로 자신을 찾아 자신을 성숙시키고 자신을 성취해야 합니다. 정말로 이렇게 법에서 잘해낼 수 있다면, 우리 전체도 진정으로 원융불파(圓容不破)한 전체를 형성하게 될 것이며, 그것은 구세력이 가장 보기 두려워하는 것입니다.

이상은 개인의 한정된 층차에서 깨달은 것이므로, 부족한 점이 있으면 자비롭게 지적해주시기 바랍니다.

 

원문발표: 2025년 7월 3일
문장분류: 수련교류
원문위치:
正體 https://big5.minghui.org/mh/articles/2025/7/3/495872.html
简体 https://www.minghui.org/mh/articles/2025/7/3/495872.html

ⓒ 2025 명혜망.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