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후이왕](밍후이왕통신원 지린성 종합보도)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지린성(吉林省) 동부의 중국-북한 변경에 위치해 있는데 중국의 가장 큰 조선족 집거지로 면적은 4만 3천여 제곱킬로미터이고 인구는 210여 만 명이다. 전 인구 중에 한족이 절반 이상으로 약 59%, 조선족은 약 39%를 차지한다. 연변조선족자치주 중심지는 연길시다. 이 밖에 또 룡정시, 화룡시, 돈화시, 왕청현, 훈춘시, 도문시 등 관할 구역을 포함한다.
1999년 7.20 장쩌민(江澤民) 깡패집단 및 중국공산당 사당(邪黨)이 파룬궁에 대해 잔혹한 박해를 발동해 지금까지 15년 동안 연변 파룬궁수련생은 전국 각지 파룬궁수련생과 마찬가지로 매우 잔혹한 박해를 당했다. 그중에는 육체적 학대, 정신적 손상, 경제적 박해 등 많은 방면을 포함한다.
밍후이왕의 불완전한 통계에 따르면 15년간 납치, 불법 감금당한 연변지역 파룬궁수련생은 대략 897명에 달한다. 연변주 각 현과 시에서 감옥살이를 당한 파룬궁수련생은 이미 폭로된 사례를 합하면 대략 208명이다. 그중 불법 노동교양처분을 당한 수련생 수는 약 146명으로 노동교양 기한은 1년에서 3년이며, 불법 징역형 판결을 당한 수련생 중 이름이 확보된 사람은 62명이고 형기는 2년에서 13년까지다. 박해로 사망한 파룬궁수련생은 72명인데 그중 이미 밍후이왕에서 확인된 사람은 47명이다. 보도된 이 모든 파룬궁수련생들의 박해 사례도 단지 연변지역 박해 사례 중 빙산의 일각일 뿐 실제 박해 사례는 이를 훨씬 초과할 것이다.
1. 납치 구금, 경제적 박해
1999년 7월 20일부터 중국공산당 사당 두목 장쩌민은 수중의 권력을 이용해 파룬궁과 파룬궁수련생에 대해 ‘명의적으로 더럽히고, 경제적으로 파산시키며, 육체적으로 소멸한다’는 유혈 박해를 실시했다. 지난 15년간 전국의 위아래 각 성, 시 지역의 사당(邪黨) 기관은 가도사무실, 파출소, 공안국, 노동교양소, 검찰원, 법원 등을 통제해 박해에 참여했다. 가장 간단하게는 파룬궁수련생의 인신자유를 제한하고 합법적인 재산을 강탈하는 것이다.
(1) 1999~2014년 연변 각 현, 시의 파룬궁수련생이 납치당한 상황에 대한 통계
불완전한 통계에 따르면, 1999년 7월 20일 이후부터 2014년 11월 전후까지의 15년 동안, 지린성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납치당한 파룬궁수련생은 총 897명으로, 그들 중에는 젊고 기력이 왕성한 회사원이 있었고, 또 퇴직한 가정 부녀자도 있었으며, 장사하는 상인도 있었고, 또 글을 가르치는 교직원도 있었으며, 그리고 또 고희 연세의 노인도 있었고, 아직 성년이 되지 않은 어린이도 있었다……이 파룬궁수련생들은 현지 파출소, 공안국, 구치소에 의해 세뇌반에 불법 감금돼 박해를 당했는데 어떤 이는 심지어 완전히 실종됐다.
룡정시에서 납치당한 수련생: 총 95명
박해에 참여한 부서: 룡정시 공안국, 룡정시 ‘610’, 룡정시정법위(정치법률위원회), 룡정시 파출소, 개산툰 파출소, 안민(安民) 파출소, 동성용진(東盛勇鎭) 파출소, 조양천진 파출소, 하서(河西) 파출소, 룡정시 구치소, 룡정시 유치장, 룡정시 110.
화룡시에서 납치당한 수련생: 총 84명
박해에 참여한 부서: 화룡시 공안국, 화룡시 ‘610’, 문화(文化) 파출소, 서성진(西城鎭) 파출소, 화룡시 제3파출소, 화룡유치장, 화룡시 형사경찰대대, 화룡시 구치소, 팔가자 공안국, 팔가자진 파출소, 팔가자 구치소, 팔가자 하남(河南) 파출소, 두도진(頭道鎭) 파출소, 복동(福洞) 파출소.
돈화시에서 납치당한 수련생: 총 80명
박해에 참여한 부서: 돈화시 공안국, 돈화시 ‘610’, 승리가(勝利街) 파출소, 발해가(渤海街) 파출소, 단강가(丹江街) 파출소, 현유진(賢儒鎭) 파출소, 황니하(黃泥河) 파출소, 사하연(沙河沿) 파출소, 추리수구진(秋梨樹溝鎭) 파출소, 돈화시 구치소, 돈화시 순찰경찰대대, 돈화시 대석두 임업공안국, 대석두 임업국 동부역 파출소, 임업국 제1파출소, 돈화 임업국구치소.
안도현에서 납치당한 수련생: 총 68명
박해에 참여한 부서: 안도현 공안국, 안도현 송강(松江) 공안분국, 얼다오바이허(二道白河) 공안분국, 향 정부, 안도현 구치소, 안도현 유치장, 영경향(永慶鄕) 파출소, 제3파출소, 바이허(白河)임업국 구치소, 바이허임업국 제1파출소, 얼다오바이허 제2파출소, 만보(萬寶) 파출소, 양강(兩江) 파출소, 바이허유치장, 안도현 검찰원, 관리위원회 조직부.
왕청현에서 납치당한 수련생: 총 92명
박해에 참여한 부서: 왕청현 공안국, 왕청현 ‘610’, 왕청현 구치소, 왕청 임업국구치소, 동광진(東光鎭) 파출소, 대천(大川) 파출소, 대흥구진(大興溝鎭) 파출소, 대흥구 임업국, 백초구진(百草溝鎭) 파출소, 라자구진(羅子溝鎭) 파출소, 천료령진(天橋嶺鎭) 파출소, 천교령 임업공안국, 왕청현 중안(仲安)유치장.
훈춘시에서 납치당한 수련생: 총 58명
박해에 참여한 부서: 훈춘시 공안국, 훈춘시 ‘610’, 하남가(河南街) 파출소, 훈춘시 구치소, 유치장, 제1파출소, 제3파출소, 광명가(光明街) 파출소, 춘화진(春化鎭) 파출소, 정화가(靖和街) 파출소, 정화가 우호(友好)지역사회, 훈춘시 110, 훈춘 임업국정법위(정치법률위원회), 임업‘610’, 임업공안국
도문시에서 납치당한 수련생: 총 159명
박해에 참여한 부서: 도문시 ‘610’, 월궁가(月宮街) 파출소, 향상(向上) 파출소, 신화(新華) 변방 파출소, 홍광향(紅光鄕) 파출소, 도문 민정국, 정법위, 선전부, 월궁가 사무실, 석현(石峴) 공안분국, 석현진 파출소, 후안산(後安山) 유치장, 도문시 구치소, 도문수용소.
기타 지역에서 납치당한 수련생: 총 32명
박해에 참여한 부서: 지린감옥, 창춘(長春)시 경찰학교, 대광(大廣) 유치장, 선양(瀋陽) 공안국, 푸쑹현(撫松縣) 루수이허진(露水河鎭) 공안국, 푸쑹현 공안국, 푸쑹현 구치소, 무단장(牡丹江)철도공안국 파출소, 무단장 아이허(愛河) 구치소, 자오허시(蛟河市) 바이스산진(白石山鎭) 파출소, 하얼빈(哈爾濱)시 철도공안국 유치장, 하얼빈 마약중독자재활원, 헤이스(黑石) 파출소, 어무(額穆) 파출소, 광저우(廣州)시 ‘610’, 광저우공안국 국가보안대대, 창춘시 조양구(朝陽區) 둥차오양로(東朝陽路) 파출소, 창춘시공안국 제3구치소, 더후이(德惠)시 구치소, 무단장 국가보안대대, 지린제4구치소, 저장(浙江) 진화(金華)시 우이(武義) 공안국, 칭다오(靑島) 핑두(平度)시 구치소, 윈난(雲南) 루이리(瑞麗)공안국가보안대대.
(2) 1999~2014년 파룬궁수련생이 납치당한 상황
이 내용은 도표형식으로 통계했는데 자료는 15년간 밍후이왕에서 보도한 연변 지역 8개 현과 시에서 예전에 납치당한 적이 있는 모든 파룬궁수련생이다. 그중에는 또 외지 수련생이 현지에서 납치당한 것과 현지 수련생이 외지에서 납치당한 것을 포함한다. 하지만 시간이 이미 많이 지났고 10여년 전 박해 기록이라 실질적으로 납치, 불법 감금당한 파룬궁수련생은 이를 훨씬 초과할 것이다.
1999년
7월
연길시: 양푸진(楊福進)
룡정시: 김준걸(金俊傑)
10월
연길시: 양푸진, 인펑친(殷鳳琴), 양광(楊光)
룡정시: 김준걸
돈화시: 스궈쥔(石國君), 리융메이(李詠梅), 리융후이(李詠慧), 리융펑(李詠峰), 인수추이(尹樹翠), 상×보(尙×波), 장수즈(張淑芝), 리후이칭(李惠淸)
11월
연길시: 쑹융화(宋永華)
룡정시: 차이푸천(蔡福臣)
시간이 분명하지 않음:
안도현: 왕리쥔(王麗君)
도문시: 성스쥔(滕世軍)
2000년
1월
안도현: 왕리쥔, 주야핑(朱亞萍)
2월
연길시: 김명호(金明鎬), 김명화(金明花)
안도현: 왕리쥔, 주야핑
3월
룡정시: 차이푸천
도문시: 김영남(金永男)
화룡시: 추이옌링(崔豔玲), 우옌쥔(吳豔君), 두위메이(杜玉梅), 위구이친(于桂琴), 리룽춘(李龍春), 충야팡(叢雅芳), 야오징링(姚景玲), 양수훙(楊淑紅), 양수펀(楊淑芬), 왕옌춘(王豔春), 팡쉐메이(房雪梅), 류쥔(劉俊), 류수(劉樹), 류펑(劉峰)
6월
돈화시: 리융메이(李詠梅), 리융후이(李詠慧), 리융펑(李詠峰)
10월
연길시: 양푸진, 인펑친
12월
룡정시: 쉬퓌펀(徐玉芬), 한시환(韓希煥), 추이쑹수(崔松樹), 장슈친(姜秀琴), 상수신(商書馨)
시간이 분명하지 않음:
연길시: 조련화(趙蓮花)
왕청현: 딩하이칭(丁海淸)
도문시: 성스쥔(滕世軍)
2001년
1월
연길시: 하오잉창(郝迎强)
룡정시: 량슈전(梁秀珍)
왕청현: 원수친(溫淑琴)
도문시: 김영남(金永男)
2월
연길시: 양중팡(楊忠芳), 양중란(楊忠蘭), 마수잉(馬淑英)
도문시: 한쥔(韓俊)의 모친
5월
훈춘시(琿春市): 우(吳)씨
6월
훈춘시: 관위친(關玉芹)
7월
룡정시: 박명숙(朴明淑), 량슈전(梁秀珍)
훈춘시: 리(李)씨 여성
기타: 팡쥔위안((逄君媛)
8월
도문시: 20명
9월
연길시: 취옌추(曲豔秋)
룡정시: 궈페이쥔(郭培俊), 하오잉창(郝迎强), 박홍권(朴洪權)
훈춘시: 추이(崔) 모와 남편
10월
연길시: 신옌쥔(辛延俊)
11월
연길시: 류수윈(劉淑雲), 스슈훙(石秀紅), 쑹융화(宋永華)
12월
연길시: 조련화(趙蓮花)
시간이 분명하지 않음: 박길자(朴吉子), 신위안쥔(辛元俊)
2002년
1월
돈화시: 리후이칭(李惠淸), 류잉(劉英), 다이후이(代慧), 스궈쥔(石國君)
안도현: 장위란(張玉蘭)
2월
안도현: 장위란
3월
룡정시: 장징타오(張景壽)
안도현: 주야셴(朱雅仙) 자매
도문시: 김범룡(金范龍)
5월
기타: 양리쥐안(楊麗娟)
6월
연길시: 김성전(金成全)
도문시: 김영남(金永男)
7월
연길시: 양중팡(楊忠芳)
10월
룡정시: 차이푸천
11월
연길시: 리호철(李虎哲)
왕청현: 우신닝(武鑫寧)
도문시: 쉬수칭(徐淑淸)
시간이 분명하지 않음:
연길시: 왕춘화(王春華)와 모친, 마쥔보(馬俊波)
룡정시: 량성(梁聖)
안도현: 샤오궈빙(肖國兵)
2003년
3월
연길시: 장구이룽(姜桂榮), 왕수핑(王淑平), 김명화(金明花)
4월
룡정시: 쑨리훙(孫麗紅)
5월
도문시: 장징원(張靜文), 리훙밍(李宏明), 자오리탕(趙理堂)
6월
왕청현: 리원즈(李文智)
7월
왕청현: 딩하이칭(丁海淸)
8월
안도현: 장윈펑(張雲風)
9월
연길시: 주희옥(朱喜玉)
10월
안도현: 왕리쥔
11월
안도현: 주야셴(朱雅仙)
12월
룡정시: 푸춘옌(付春豔)
돈화시: 류리(劉莉)
시간이 분명하지 않음:
연길시: 양홍권(楊洪權)
도문시: 멍펑친(夢鳳琴)
2004년
1월
연길시: 루이커룽(瑞克榮), 장카이위(姜凱宇), 왕나(王娜), 리펑윈(李鳳雲), 성(盛) 모
룡정시: 지영만(池永萬)
안도현: 왕슈란(王秀蘭), 펑완성(馮萬生), 판쩌메이(樊澤美), 장샤오쉐(張曉雪)
도문시: 왕사오푸(王紹福), 쑨위안우(孫元武)의 부친과 아내
2월
연길시: 양홍권, 리웨이(李偉)와 남편
화룡현: 우옌쥔(吳豔君)
왕청현: 취싱우(曲興武), 왕수친(王淑琴)
도문시: 김영남, 황복순(黃福順), 멍판친(孟繁琴)
3월
안도현: 장훙펑(張鴻鳳), 왕하이화(王海花), 류메이쥔(劉美君), 가오즈민(高志敏), 양즈청(楊志成), 쉬쉐즈(徐學志), 자오펑셴(趙鳳仙)
도문시: 김경희(金京姬)
4월
연길시: 김창춘(金昌春)와 아내, 왕후이롄(王慧蓮), 박귀봉(朴貴峰)
안도현: 주야셴
왕청현: 류시메이(劉喜梅)
도문시: 장쑹판(張松范)
기타: 사오쩌샤(邵澤霞), 사오쩌아이(邵澤愛), 푸슈화(傅秀花), 류위란(劉玉蘭), 왕바오친(王寶芹)
5월
연길시: 둥구이즈(董桂芝), 류전친(劉振琴), 9명 수련생, 황규희(黃奎喜), 지영숙(池英淑), 허영철(許永哲)
룡정시: 둥창타이(董長泰), 리샤오샤(李小霞), 차이푸천
안도현: 장후이(張輝)
왕청현: 리유춘(李優存)
도문시: 가오옌(高燕)
기타: 왕둥메이(王冬梅), 리메이룽(李美容)
6월
화룡시: 장전(張震), 왕화이청(王懷誠)
기타: 옌차이샤(閆彩霞), 톈춘허(田春鶴)
7월
안도현: 리옌(李延)
훈춘시: 박생금(朴生今)
도문시: 장쑹판(張松范)
8월
연길시: 천광우(陳光武)
10월
연길시: 장후이제(張慧傑), 류원원(劉文文)
룡정시: 위사오화(于少華)
안도현: 린위팡(林玉芳), 취안리(全力), 마구이민(馬桂敏), 왕징샤(王靜霞)
왕청현: 러우추펑(婁秋風)과 모친
도문시: 성스쥔
11월
연길시: 자오신메이(趙欣梅), 박세련(朴世蓮), 정바오화(鄭寶華), 란리리(蘭麗麗), 류춘리
훈춘시: 한춘훙(韓春紅)
12월
연길시: 쑹궈루(宋國茹)
왕청현: 사오수잉(邵淑英), 딩하이칭(丁海淸)
2005년
2월
돈화시: 리인숙(李仁淑)
기타: 장수화(張淑華), 장칭쥔(張慶軍), 쉐슈화(薛秀花), 츠수링(遲素玲)
3월
연길시: 하오잉창(郝迎强), 리롄제(李蓮潔)
안도현: 관리보(官麗波), 양옌추(楊豔秋)
4월
연길시: 주희옥
룡정시: 왕옌(王豔), 량슈전(梁秀珍), 장징타오(張景壽), 량성(梁聖), 자창즈(賈長芝), 쑨리훙(孫立紅)
왕청현: 자오펑셴(趙鳳仙), 쑨환이(孫煥義), 스더이(斯德義)
훈춘시: 첸위메이(錢玉梅)
5월
연길시: 주희옥
화룡시: 류롄이(劉連一)
돈화시: 장옌춘(張豔春)
6월
화룡시: 장영희(張英姬)
안도현: 취리레이(曲麗磊), 둥슈윈(董秀雲), 딩구이펀(丁桂芬), 양디핑(楊迪萍), 쉐(薛)씨 여성
왕청현: 양젠화(楊建華)
7월
연길시: 주희옥
화룡시: 리차오룽(李巧榮)
8월
화룡시: 박영자(朴英子), 김춘옥(金春玉), 리(李)씨 여성
돈화시: 정슈친(鄭秀琴)과 딸
안도현: 허쥐잉(何菊英)
기타: 성스쥔(滕世軍)
9월
화룡시: 류칭제(劉慶傑), 노인 쑹(宋) 씨
왕청현: 양푸청(楊福成), 쉬야천(徐亞臣), 장훙웨(張洪岳)
10월
왕청현: 장훙펑(張鴻鳳)
기타: 왕후이(王慧), 류톄쥔(劉鐵軍)
12월
왕청현: 주야전(朱雅珍), 주야셴(朱雅仙)
도문시: 리영호(李英浩)와 모친
시간이 분명하지 않음:
화룡시: 홍순옥(洪順玉), 김태준(金泰俊)
2006년
1월
왕청현: 장훙펑(張鴻鳳)
도문시: 리춘만(李春萬)
2월
연길시: 류전시(劉振喜), 쑨쩌린(孫澤林), 쑹궈루(宋國茹), 둥구이즈(董桂芝), 안영희(安英姬)와 친구
화룡시: 지청송(池靑松), 톈신강(田心剛), 김덕수(金德洙), 3명 수련생
왕청현: 왕뎬룽(王殿榮)
훈춘시: 원잉자(溫穎佳)
3월
화룡시: 톈신강, 상수신(商淑馨), 리슈룽(李秀榮)
왕청현: 황문학(黃文學)
기타: 왕둥슈(王東秀), 최명숙(崔明淑)
4월
돈화시: 왕옌춘(王豔春)
안도현: 스궈쥔(石國君), 리옌보(李延波), 리창칭(李常靑)
훈춘시: 리롄(李連), 오영자(吳英子), 허금숙(許金淑)
5월
연길시: 황규희, 지영숙
화룡시: 량슈전(梁秀珍)
돈화시: 양슈잉(楊秀英), 리룡춘(李龍春), 장옌춘(張豔春), 왕밍선(王明申), 방설매(房雪梅), 야오징링(姚景玲), 훙메이(洪梅), 충야팡(叢雅芳), 류쥔(劉俊), 김영실(金英實)
도문시: 노년 수련생 조(趙) 씨
6월
연길시: 위징(于晶)
7월
연길시: 최월숙(崔月淑), 리차이샤(李彩霞), 리명옥(李明玉)
기타: 왕칭윈(王慶雲)
8월
돈화시: 정무즈(鄭幕芝)
기타: 장추란(張秋蘭), 저우구이란(周桂蘭), 저우샹(周香), 류전싱(劉振興), 류전리(劉振禮), 쉬수란(徐淑蘭)
9월
연길시: 리호철
돈화시: 쑤이슈셴(隋秀賢), 3명 수련생
훈춘시: 성커메이(滕克梅)
10월
기타: 장영란, 왕위샤(王玉霞), 빙수화(邴素華), 자오리탕(趙理堂)
11월
연길시: 장싱차이(張興財)
화룡시: 최복순(崔福順)
도문시: 안리친(安麗芹), 리허싱(李和星), 쑹위메이(宋玉美)
12월
연길시: 수련생 천(陳) 씨, 양궈루이(楊國瑞)
화룡시: 우지원(吳基文)
2007년
1월
화룡시: 박광훈(朴光勛), 리홍원(李洪圓), 신학선(申學善), 조선족 노년 여 수련생, 장영희
훈춘시: 왕춘룽(王春龍), 옌구이어(閻桂娥)
2월
연길시: 멍칭위(孟慶宇)
3월
돈화시: 왕위제(王玉傑), 웨더저우(岳德州)
4월
왕청현: 주야전(朱雅珍), 주야셴(朱雅仙), 주야핑(朱雅萍), 리러유(李樂友), 양젠핑(楊建華)
훈춘시: 리원즈(李文智)
5월
연길시: 림옥설(林玉雪), 주(朱) 아주머니, 주희옥
화룡시: 석청송(石靑松), 류펑(劉峰)
돈화시: 김봉천(金峰天)
왕청현: 왕차이샤(王彩霞)
훈춘시: 류시메이(劉喜梅), 취싱우(曲興武), 린칭핑(林淸平), 천구이펀(陳桂芬)
기타: 왕쓰하이(王四海), 왕위전(王玉珍)
6월
연길시: 장수후이(張舒慧)
화룡시: 김(金)씨, 김영래(金永來)
훈춘시: 판옌칭(范燕淸)
기타: 자오리탕
8월
화룡시: 리샤오샤(李小霞), 왕원위안(王文元)
기타: 사오밍잉(邵明英)
9월
연길시: 장수메이(姜素梅), 장싱차이(張興財), 김덕수(金德洙), 박문철(朴文哲)
도문시: 위펑허(于風和)
기타: 류슈화(劉秀華), 류춘허(劉春和), 딩수셴(丁淑賢), 류수즈(劉淑芝), 양슈화(楊秀華)
10월
연길시: 위하이링(于海靈)
왕청현: 리러유(李樂友) 다양(大楊) 누나(언니)
훈춘시: 최광영(崔光泳), 정리쥔(鄭立君), 오영자(吳英子), 린지핑(林基平), 천구이펀(陳桂芬), 옌차이샤(閆彩霞)
기타: 츠야오차이(遲耀才)
11월
연길시: 장칭샹(張慶香), 잔추전(戰秋珍)
기타: 장구이잉(張桂英), 샤수리(夏淑麗)
12월
연길시: 리슈난(李秀男)
훈춘시: 사오윈하이(邵雲海), 임정자(任貞子), 오영자(吳英子)
2008년
1월
연길시: 쩌우구이잉(鄒桂英), 왕수메이(王淑梅)
기타: 왕페이중(王培中)
2월
화룡시: 류칭제(劉慶傑)
기타: 우신닝(武鑫寧)
3월
연길시: 리훙옌(李紅豔)
화룡시: 장슈펀(張秀芬)
왕청현: 바이메이(白梅), 리후이(李慧)
기타: 장영란, 자오옌핑(趙豔萍), 궁슈잉(宮秀英), 왕시즈(王錫芝), 저우구이링(周桂玲), 장칭쥔(張慶軍)
4월
연길시: 양쉐화(楊學華), 장진보(張金波), 양광(楊光), 자오춘링(趙春玲), 추이위쯔(崔玉子)
안도현: 왕쓰하이(王四海)
왕청현: 장훙펑(張鴻鳳), 왕차이샤(王彩霞)
도문시: 류웨전(劉躍珍)
기타: 류야셴(劉雅仙), 훠춘메이(翟春梅), 김명순(金明順), 양춘리(楊春麗), 짱샤오리(臧小麗), 왕위샤(王玉霞), 취위롄(曲玉蓮)의 남동생과 여동생, 조광명(曹光明), 장칭쥔(張慶軍), 장수화(張淑華), 리광석(李光石), 양푸진
5월
연길시: 자창즈(賈長芝)
돈화시: 양수훙(楊淑紅)
안도현: 톈구이란(田桂蘭)
훈춘시: 리슈친(李秀芹), 신희숙(申姬淑), 김정자(金貞子), 쑨청전(孫秉珍)
도문시: 류수윈(劉淑雲)
6월
연길시: 추펑롄(裘鳳蓮), 류슈윈, 린잉(林穎) 한 남성 수련생, 주희옥, 추펑롄(邱鳳蓮), 류수메이(劉淑梅)
화룡시: 길금옥(吉今玉)
훈춘시: 리구이화(李桂華), 왕구이즈(王桂芝), 허금숙(許今淑), 리(李) 씨, 렴춘월(廉春月), 류차이샤(劉彩霞)
기타: 쉬쥔(許君)
7월
연길시: 최건일(崔建一)
돈화시: 장구이친(張桂琴)
왕청현: 한 여성 수련생
도문시: 가오진잉(高金英)
훈춘시: 오영자(吳英子), 옌차이샤, 정리쥔, 리유춘(李優存), 러우추펑(婁秋風)과 모친, 장(張) 모, 왕수펀(王淑芬), 장수쥔(張樹鈞), 성커메이(滕克梅), 첸위메이(錢玉梅), 허숙자(許淑子), 린쥔리(林君立), 펑페이친(馮佩芹), 류궈신(劉國新), 김정자, 리구이화(李桂華), 리 씨, 렴춘월, 허금숙, 장원쥔(張文君), 왕구이룽(王桂榮), 허금순, 위모순(禹末順), 리징타이(李敬太), 장펑즈(張風芝), 윤정철(尹正鐵)
기타: 리호철
8월
돈화시: 오봉현(吳鳳賢), 쑨칭쥐(孫慶菊)
안도현: 왕융창(王永强), 장옌링(張豔玲)
도문시: 지(季) 모
9월
연길시: 선취안후이(申全會), 리펑윈(李鳳雲), 정바오화(鄭寶華), 야오구이전(姚桂珍)
왕청현: 비(畢) 씨
도문시: 쉬구이샤(徐桂霞)
10월
기타: 가오스린(高士林)
11월
도문시: 한정펀(韓正芬), 왕웨이슈(王為秀), 리구이샹(李桂香)
12월
연길시: 왕루선(王魯申)
기타: 류수윈, 류산전(劉善真), 황복순, 둥판친(董范芹), 류충허(劉崇和), 멍판친(孟繁琴)
2009년
1월
연길시: 전(全) 모, 류수전, 리위쥐안(黎豫娟)
기타: 푸리쥔(付立君), 3명 수련생
2월
기타: 리슈란(厲秀蘭)
3월
안도현: 류샤오제(劉曉傑), 리구이펀, 바오완쥔(鮑萬軍), 천수친(陳淑琴), 옌수(閆肅), 톈쥐안(田娟), 장웨잉(張月英), 위안옌청(袁延成), 류옌추(劉豔秋), 싱지메이(邢吉梅), 류(劉) 여사, 잔(展) 여사
기타
연길시: 황미화(黃美花), 최홍화(崔紅花), 김영애(金英愛), 지영숙(池英淑), 김(金)씨
화룡시: 김영단(金英丹)
5월
기타: 쑹서우궈(宋守國)와 아내
6월
기타: 추이워이전(崔維珍)
7월
연길시: 리펑윈
돈화시: 류시(劉喜), 류슈샹(劉秀香), 가오창숴(高長所)
안도현: 허쥐팡(何菊芳), 톈슈샤(田秀霞), 왕펀(王芬), 2명 수련생
훈춘시: 리원수(李文書), 쑨청전(孫秉珍), 사오위하이(邵玉海)
도문시: 박정소(朴正素), 팡스메이(房師美), 펑즈룽(馬志榮)
8월
연길시: 김전금(金珍今), 조학순(趙學順), 김련순(金蓮順), 림옥설(林玉雪), 정야원(鄭雅文)
화룡시: 황명화(黃明華)
훈춘시: 오영자, 황자전(黃家珍), 김정자, 사오윈하이(邵耘海), 취싱우(曲星武), 쑨빙링(孫秉玲), 텅커메이(滕克梅)
9월
연길시: 박광수(朴光洙), 리룡길(李龍吉), 김명호(金明鎬)
화룡시: 구쥔셴(賈郡賢), 왕진바오(王金寶)
돈화시: 류쥔(劉俊)
도문시: 궈슈제(郭秀傑), 가오진잉(高金英), 류후이잉(劉慧穎)
기타: 류야셴(劉雅仙), 류웨이웨이(劉薇薇), 류자(劉佳)
10월
기타: 판웨이(潘偉)
12월
연길시: 황미화, 최옥자, 오순자(吳順子), 박순자(朴順子)
도문시: 리춘만(李春萬)
기타: 류야셴, 쉐슈화(薛秀花), 왕리화(王麗華), 취위펀(曲玉芬)
2010년
1월
연길시: 김광일(金光日), 왕수화(王淑華), 장싱차이(張興財), 류원원(劉文文), 류루루(劉露露), 경미영(景美英), 조학순(趙學順), 무더룽(穆得榮), 허(許)모 씨, 쑹(宋)모 씨, 최(崔)모 씨
돈화시: 류쥔(劉俊), 팡펑셴(龐鳳仙), 중웨이쥔(鐘偉君)
2월
연길시: 탕이빈(唐儀彬)
기타: 장베이치(張倍齊)
3월
연길시: 주희옥(朱喜玉)
돈화시: 리영화(李英華), 류위바오(劉玉寶)
도문시: 천광후이(陳光輝), 하오커징(郝克晶)
기타: 리슈즈(李秀芝)
5월
연길시: 왕슈친(王秀琴)
화룡시: 김미옥(金美玉)
돈화시: 류주환(劉久煥)
왕청현: 쑨메이후이(孫美慧)와 어머니
도문시: 왕샤오민(王曉敏), 위덩쿠이(于登奎)
6월
돈화시: 웨더저우(岳德州), 왕위제(王玉潔), 윤옥화(尹玉華), 왕옌춘(王艶春)
기타: 타오슈즈(陶秀芝), 리순희(李順姬), 타오슈란(陶秀蘭), 츠수친(遲素琴)
7월
연길시: 리호철(李虎哲), 멍셴빈(孟憲斌), 멍단(孟丹)
돈화시: 정슈친(鄭秀芹), 리룡춘(李龍春)
8월
화룡시: 자창쯔(賈長芝), 조봉란(趙鳳蘭)
9월
연길시: 안홍련(安紅蓮), 최건일(崔建日), 조영록(趙永祿)
훈춘시: 김국량(金國良)
기타: 장칭쥔(張慶君), 장수화(張淑華)
10월
안도현: 류징핑(劉靜萍), 웨이(魏)모 씨, 왕차이샤(王彩霞), 왕쓰하이(王四海), 왕위전(王玉珍), 왕(王)모 씨.
기타: 최향란(崔香蘭)
12월
연길시: 조영록(趙永祿), 샤오화(小花)
2011년
1월
돈화시: 정무즈(鄭慕芝)
도문시: 지쥔(季君), 쉬구이샤(徐桂霞)
기타: 왕웨이핑(王偉萍)
2월
연길시: 루이커룽(芮克榮)
3월
연길시: 주희옥(朱喜玉), 우옌샤(吳艶霞)
화룡시: 김태준(金泰俊), 길금옥(吉金玉)
훈춘시: 정리쥔(鄭立軍)
도문시: 저우쥐징(周菊靖), 쑨구이잉(孫桂英)
기타: 류샤오화(劉曉華)
5월
연길시: 한춘화(韓春花)
화룡시: 장슈친(張秀琴)
안도현: 녜훙(聶虹)
기타: 김련화(金蓮花), 딩수셴(丁淑賢), 장영란(張英蘭), 쑤융장(蘇永江)
6월
연길시: 주희옥(朱喜玉), 둥구이즈(董桂芝), 주옌원(祝延文), 두위메이(杜玉梅), 리창화(李昌華), 리창리(李昌立), 류화(劉華), 야오수핑(姚淑萍), 김련화(金蓮花), 박금자(朴今子)
화룡시: 장위슈(張玉秀), 리(李)모 씨
돈화시: 스슈잉(石秀英)
훈춘시: 리원즈(李文智)
도문시: 타이진화(邰金花)
기타: 관옌샤(關艶霞), 왕페이중(王培忠)
7월
훈춘시: 딩린(丁淋)
도문시: 딩정위(丁正玉), 왕웨이슈(王爲秀), 저우쥐징(周菊靖), 황자전(黃家珍)
8월
왕청현: 리러유(李樂友), 정즈후이(鄭智慧), 웨징제(岳靜傑), 왕구이친(王桂芹)
도문시: 니바오쿤(倪寶坤), 뤼슈핑(呂秀萍), 위(于)씨, 신원 미확인 수련생 한명.
9월
연길시: 자창즈(賈長芝)
화룡시: 왕옌(王艶)
기타: 무헝순(穆恆順)
10월
기타: 루훙위안(盧洪源), 왕사오푸(王紹福)
11월
도문시: 궈슈제(郭秀傑), 왕씨, 왕샤오민(王曉敏)
기타: 류톄쥔(劉鐵俊), 추이옌링(崔艶玲)
시간 불분명
연길시: 양수샹(楊淑香), 난충시(南崇熙), 박동철(朴東哲)
돈화시: 류가이환(劉改煥), 리옌성(李彥勝), 우펑셴(吳鳳賢), 청수전(程淑珍)과 딸 샤오양(小楊)
기타: 류야셴(劉雅仙), 장수화(張淑華)
2012년
1월
안도현: 왕샹쥐(王相菊)
기타: 쑹리제(宋麗傑), 장구이잉(張桂英)
2월
기타: 장수즈(姜淑芝)
3월
연길시: 남(南)모 씨, 궈(郭)모 씨
안도현: 톈리쥔(田立軍), 톈리제(田立傑)와 친구 한 명, 톈슈샤(田秀霞), 왕훙쥔(王紅俊)
4월
연길시: 허원중(許元中, 또는 허원종), 리기옥(李奇玉), 최옥자(崔玉子), 정슈친(鄭秀芹), 류춘리(劉春利), 박문철(朴文哲)
화룡시: 김순선(金順善), 태호(泰浩)
안도현: 장옌링(張艶玲), 왕융창(王永强)
도문시: 자오구이잉(曹桂英)과 남편
기타: 가오스린(高士林)
5월
연길시: 잔추전(戰秋珍), 가오창쒀(高長鎖)와 아내
돈화시: 쑨칭쥐(孫慶菊)
안도현: 장민(張敏), 위(于) 모 씨, 왕펑메이(王鳳美)
훈춘시: 사오수잉(邵淑英)
기타: 두(杜)모 씨, 디춘메이(翟春梅)와 아들, 장(姜)모 씨, 최향란(崔香蘭), 츠쑤링(遲素玲), 장수셴(張淑賢)
6월
연길시: 유향란(兪香蘭), 루이커룽(芮克榮), 김인태(金仁泰)
화룡시: 자오슈룽(趙秀榮)
안도현: 톈구이란(田桂蘭)
훈춘시: 쑹구이화(宋桂花)
도문시: 위둥쿠이(于東奎)
7월
연길시: 안영희(安英姬), 리호철(李虎哲), 리기옥(李奇玉), 리샤(李霞)
화룡시: 림춘식(林春植), 리샤오샤(李小霞), 루치싱(盧起興)
돈화시: 펑메이(馮梅)
왕청현: 자오아이슈(趙愛修)
8월
화룡시: 왕구이샤(王桂霞), 장아이슈(張愛秀)
왕청현: 샤팡시(夏芳溪)
9월
연길시: 천광우(陳光武)
기타: 김선녀(金善女), 김옥분(金玉芬)
10월
연길시: 쑨쩌린(孫澤林), 김명호(金明浩), 정은월(鄭銀月), 김진금(金珍今), 양수잉(楊淑英)
11월
연길시: 한련화(韓蓮花), 왕위제(王玉杰), 신원 불명 노인 수련생(여)
도문시: 리시롄(李喜連), 황복란(黃福蘭)
2013년
2월
안도현: 왕샹쥐(王相菊)
3월
기타: 리영자(李英子), 최명숙(崔明淑)
4월
연길시: 리정옥(李貞玉), 쉬옌화(許艶華)
5월
도문시: 츠수링(遲素玲)
기타: 최향란(崔香蘭)
6월
연길시: 천슈샹(陳秀香)
7월
연길시: 박광훈(朴光勛)
8월
기타: 뉴리화(牛麗華)
9월
돈화시: 팡펑셴(龐鳳仙), 중웨이쥔(仲偉君), 왕웨이핑(王偉平), 리잉화(李英華)
안도현: 위안리(袁莉), 마구이민(馬桂敏), 왕 모 씨, 장 모 씨, 류 모 씨, 청위중(程玉中), 왕샹쥐(王相菊), 신원 불명 수련생 3명
도문시: 왕샤오민(王曉敏)
10월
안도현: 류위전(劉玉珍), 노인 수련생 한명
11월
도문시: 쑤융장(蘇永江), 저우쥐징(周菊靖), 쉬구이샤(徐桂霞)
2014년
1월
연길시: 리구이메이(李桂梅)
2월
안도현: 페이수샤(裴淑霞)
3월
연길시: 천충민(陳叢民)
4월
연길시: 조영록(趙永祿), 신원 불명 조선족 여 수련생 한명.
화룡시: 최봉화(崔鳳花)
안도현: 왕 모 씨
7월
연길시: 취위샤(曲玉霞), 주옌원(祝延文)
화룡시: 신원 불명 수련생 3명
기타: 리춘연(李春燕), 쉬구이펀(徐貴芬), 장영란(張英蘭), 류린(柳琳), 쑹리제(宋麗傑), 츠슈잉(遲秀英), 강경애(姜京愛), 장수즈(姜淑芝), 왕리샤(王麗霞)
8월
화룡시: 차이위슈(柴玉秀), 박 모 씨(여)
돈화시: 류쥔(劉俊)
도문시: 최 모 씨
기타: 위리신(于麗新), 류옌(劉燕), 장수셴(張淑賢), 신원 불명 수련생 한명(남)
9월
연길시: 리련걸(李連傑)
10월
연길시: 리호철(李虎哲), 취위샤(曲玉霞)
화룡시: 신원 불명 조선족 수련생 한명, 저우아이신(周愛心)
돈화시: 양수펀(楊淑芬)
기타: 쉬자더(徐加德)
11월
연길시: 사오메이어(邵美娥), 저우(周) 모 씨, 박옥녀(朴玉女)
돈화시: 류화잉(劉華英), 판구이룽(范桂榮), 장 모 씨, 리허싱(李和興), 우원잉(吳文英)
12월
연길시: 김영란(張英蘭)
2, 가택 수색, 재물 강탈 및 갈취
박해가 지속된 지난 15년간, 납치 사건이 발생한 후 관련 부서는 거의 매번 피해 파룬궁수련생의 가택을 수색했다. 파룬궁 서적과 자료 외 경찰들은 또 함부로 파룬궁수련생의 개인 재물을 강탈하고 많은 물품은 모두 명세서에 써 넣지 않았다. 게다가 관련 부서가 파룬궁수련생에게 함부로 벌금을 부과시키거나 친인척을 상대로 재물을 갈취한 상황도 자주 발생했다. 아래는 최근 몇 년간 연변 지역 파룬궁수련생이 재물을 강탈당한 사례 중에서 규모가 비교적 큰 일부 사례다.
◇2000년 3월, 도문시 파룬궁수련생 김영남(金永男)은 베이징으로 대법을 실증하러 갔다가 현지로 송환되어 불법 구류를 당한 동시에 돈과 재산 총 2300위안을 갈취 당했다.
◇2000년 3월, 화룡시 팔가자 파룬궁수련생 추이옌링(崔艶玲)은 베이징으로 청원하러 갔다가 현지 공안에 납치된 뒤 화룡 구치소에서 불법 구류를 당했다. 가족들은 ‘베이징으로 가지 않는다’는 약속으로 보증금 5천 위안을 내야 했다. 2001년, 경찰은 파룬궁 경문을 전했다는 이유로 다시 그녀를 납치해 구류시키고 ‘5천 위안의 보증금을 벌금으로 걷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영수증은 주지 않았다.
◇2001년 6월 23일, 60대 파룬궁수련생 리(李)씨가 경찰에게 불법 납치됐다. 경찰은 불법으로 가택 수색을 감행했는데 빌라 대문 열쇠를 부수고 들어가 대법책과 설법 테이프를 가져갔다. 그들은 리씨를 노동교양 시키려 했지만 노동교양소 측은 나이가 많고 건강 상태가 좋지 않다는 이유로 수감을 거부했다. 그러나 악도들은 리씨의 딸로부터 2천 위안의 보증금을 불법 갈취하고서야 풀어주었다.
◇2001년 10월 24일, 훈춘시 정치보안과 과장 야오(姚) 모 씨는 부하 경찰들을 데리고 훈춘시 파룬궁수련생 웨이진솽(魏金雙)의 집으로 찾아갔다. 당시 집이 비어 있는 상태였지만 어떠한 허락도 거치지 않고 불법적으로 2만 위안에 이르는 재산을 강탈해 갔다.
◇2001년 11월, 안도현 대석두 임업국 1장 농장장 리옌보(李延波), 소장 장융화(張永華)는 안도현 파룬궁수련생 리펑잉(李風英), 리윈펑(張雲風)을 상대로 정신적 박해와 경제적 박해를 감행했다. 또 두 사람은 각각 1,850위안의 벌금을 부당하게 내야 했다.
◇2002년 룡정시 경찰은 전화번호로 추적해 베이징에서 유랑 생활을 하는 파룬궁수련생 장징타오(張景壽)의 큰 아들과 파룬궁수련생 장신(張昕)의 주소를 알아내고 베이징의 10여명 경찰과 함께 이들을 납치하려 했다. 장신이 피신해 집에 없었지만 경찰은 집안 컴퓨터, 프린터, DVD 버너 등 1만 위안에 이르는 물품을 강제로 몰수했다.
◇2002년 6월 7일, 연길 파룬궁수련생 김성전(金成全)이 납치됐으며 컴퓨터,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등 7천여 위안에 이르는 물품과 외투, 현금 500위안 등을 강탈당했다.
◇2004년 5월 경, 룡정시 개산툰진(開山屯鎭) 파룬궁수련생 둥창타이(董長泰)와 리샤오샤(李小霞)는 개산툰 파출소에 납치돼 많은 대법서적과 진상자료를 불법 강탈당했다. 두 사람은 룡정시 국가보안대대에서 고문으로 자백을 강요당했다. 구치소 측은 수 개월 동안 이들의 가족들로부터 총 1만여 위안을 갈취한 후에야 수련생들을 석방했다.
◇2004년 5월 19일, 연길시 국가보안대대와 공원파출소, 장백향(長白鄕) 파출소, 소영(小營) 파출소는 서로 공모해 두 차례에 거쳐 파룬궁수련생 9명을 납치했다. 어떤 수련생은 야채를 팔아 생계를 유지하는데 경찰들은 손에 잡히는 대로 야채를 모두 가져가 버렸고, 또 어떤 수련생은 주택을 짓고 있었는데 경찰은 인부들의 식사로 준비된 찐빵마저 가져갔다. 수련생들을 납치한 후 경찰은 또 모든 파룬궁수련생 가족들에게 1만 위안씩 내게 하고 내지 않으면 석방하지 않을 것이라고 협박했다. 어떤 수련생 가족은 돈이 없어 친인척들에게서 이리저리 모아서야 가족을 되찾아 올 수 있었다.
◇2004년 5월 26일 저녁, 연길시의 자료점 세 곳이 잇따라 심각하게 파괴되어 현금, 장비 등 10만 위안의 손실을 입었으며 자료점 물품은 전부 강탈당했다. 당시 제1자료점에는 1668복사기 한 대, HP1000 프린터 2대, 노트북, 새로 산 랜카드 2개, CCTV 부착 핸드폰(3천 위안 정도), 가격 2만 위안에 이르는 독서기 12개, 프린터와 복사기용 새 탄소분말(토너) 약 2만 위안 어치, A4종이 10상자, MP3 2개, 현금 6천 위안 정도가 있었다. 제2 자료점에는 레이저 프린터 3대, 컬러 잉크젯 프린터, 컴퓨터 3대, CD 레코더, 대략 세 상자의 탄소분말, A4종이 7상자, 독서기 2대, 현금 500위안이 있었다. 제3 자료점의 상황은 확인되지 않았다. 경찰은 자료점의 모든 물품(그릇과 젓가락, 슬리퍼 등)을 모조리 강탈했고 집주인이 보관하고 있었던 9개월 정도의 집세까지 빼앗아 갔다.
◇연길시 파룬궁수련생 김명화(金明花)는 두 차례 불법 노동교양 박해를 당했다. 그 기간 막내딸은 충격을 받아 정신병원(당시 무료로 입원한 것으로 알려짐)에 입원했다. 2005년 3월, 김명화는 노동교양소에서 석방되어 아이를 보러 병원으로 갔다. 병원 측은 빚진 입원비 2만여 위안을 갚아야만 계속 입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무료로 입원하려면 시 민정국에서 허가를 받아야 했는데 시 민정국으로 찾아가자 그들은 주 민정국을 찾아가 보라며 거부했다.
◇2005년, 룡정시 개산툰파출소 대대장 등 세 명은 총기를 갖고 파룬궁수련생 홍순옥(洪順玉)의 집에 들이닥쳤다. 집안은 아수라장으로 되었고 대법서적과 대량의 자료를 빼앗아갔다. 홍순옥은 룡정시 국가보안대대에서 박해를 당했다. 수개월 감금 후 가족들로부터 1만여 위안을 갈취한 후에야 석방했다.
◇2005년 4월, 연길시 파룬궁수련생 자창즈(賈長芝)는 룡정시 안민(安民) 파출소 경찰에게 납치됐다. 게다가 또 3천여 위안의 현금과 은행 통장을 빼앗겼다.
◇연길시 담배공장 훙다(宏達)회사 부사장 류즈밍(劉志明), 부서기 김성룡(金勝龍), 포장자료공장 공장장 김룡찬(金龍燦)과 서기 박영권(朴永權)은 파룬궁수련생에 대한 경제적 박해에 적극적이었다. 하속 부서를 강박해 본 부서의 파룬궁수련생의 월급을 정상 월급 약 1,500위안에서 최저 표준인 330위안으로 줄이게 하고 강제로 파룬궁수련생에게 특근을 시켜 극한 노동을 시켰다.
◇2005년 10월 20일, 도문시 순찰경찰대대, 국가보안대대 및 110경찰은 길거리에서 파룬궁수련생 왕후이(王慧), 류톄쥔(劉鐵軍) 부부를 납치했다. 두 사람을 불법 감금한 후 가택에 침입해 불법 수색을 감행했다. 텔레비전, VCD플레이어, 온풍기, 핸드폰, 컴퓨터 등 가전과 5만여 위안짜리 복사기, 대량의 진상자료 등 물품과 1만 위안의 현금을 강탈한 후에도 가족들로부터 3천 위안을 갈취했다.
◇2006년 2월 28일 오전, 연길시 국가보안대대는 장기간 잠복 감시했던 파룬궁수련생들을 대대적으로 납치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파룬궁수련생 샤오덩(小鄧)의 주머니에서 대문 열쇠를 찾아내 집에 있던 둥구이즈를 납치하고 가택수색을 진행했다. 당시 컴퓨터 2대, 낡은 노트북 1대, 엡손 210잉크젯 프린터 3대, 레이저 인쇄기 최소 5대, CD 레코터 2대, 외장 하드 1개, MP3 최소 4개, 현금 최소 1만 위안과 기타 일부 장비와 소모품 등을 강탈했다. 파룬궁수련생 둥전시(劉振喜)도 오전 9시쯤 연길시 위생학교 인근에서 납치됐다. 그녀가 살고 있는 자료점도 불법 수색을 당했는데 방안에는 컴퓨터 3대, 레이저 프린터 5대, 엡손 210잉크젯 프린터 1대, 그리고 각종 장비와 소모품과 대법서적, 진상자료 등이 있었다. 2월 28일부터 각지에서 또 여러 명 파룬궁수련생이 납치, 가택 수색을 당해 5개 자료점이 파괴됐다. 연길시에서 파괴당한 자료점은 3개였는데 손실이 매우 컸다. 목격자에 의하면, 공안은 화물차를 동원해 물품들을 실어갔다. 악도에게 수색당한 기계 설비와 재물 총액은 10만 위안 정도로 추정된다.
◇2006년 2월 28일, 파룬궁수련생 안영희는 어머니 집에서 연길시 ‘610’과 국가보안대대의 경찰에게 납치당한 동시에 불법 가택 수색을 당해 집안의 값진 물건을 대부분 강탈당했다. 텔레비전, VCD, 사진기, 핸드폰, 컴퓨터 및 1만여 위안의 현금 등 재물을 강탈당했다.
◇2007년 3월 22일, 연길시 하남파출소 경찰은 호구를 조사한다며 접근한 후 파룬궁수련생 왕위제 부부를 강제로 납치했으며 문을 부수고 집안에 들어가 컴퓨터, VCD 플레이어, DMB수신기, 외장 하드, USB, MP3, 시디, 대법서적 등 물품을 강탈했다. 팔가자에 있는 왕위제의 집도 수색을 당해 1만 위안의 현금과 컴퓨터를 강탈당했다.
◇2007년 4월 20일 오후, 안도현 얼다오바이허 파룬궁수련생 주야전(朱雅珍), 주야셴(朱雅仙), 주야핑(朱雅萍), 리러유(李樂友) 등은 안도현 국가보안대대, 안도현 쑹장(松江)공안분국의 경찰에게 납치되고 가택 수색을 당했다. 노트북 컴퓨터 2대, 프린터, 위성접시 2개, 프린터 종이 여러 상자, 그리고 대법서적과 진상자료를 불법 강탈당했다. 리러유의 집에서는 또 노트북 1대, 핸드폰 2부, 프린터 종이 8상자, 대형 스태플러, 스태플러 침 1통, 위성접시 1개를 강탈했다.
◇2007년 8월 25일 오전, 룡정시 개산툰 파룬궁수련생 왕원위안(王文元)은 룡정시 공안국 국가보안대대 경찰과 개산툰 파출소 경찰에게 납치됐고 컴퓨터 1대, 프린터 2대, 복사기 1대, 대량의 소모품과 진상자료 및 1,000위안의 현금을 수색당했다.
◇2008년 8월 1일, 돈화시 파룬궁수련생 왕융창(王永强), 왕옌링(王艶玲) 부부는 셴루진(賢儒鎮) 파출소에 납치됐고 4일 구치소로 송치됐다. 그 후 경찰은 이들 집안에 있던 컴퓨터 2대, 프린터와 복사기 각각 1대, 오토바이 1대를 수색해갔다.
◇2008년 9월 9일-10일 사이 화룡시 두도파출소에는 파룬궁수련생 정바오화(鄭寶華)를 납치했으며 그의 집에서 노트북 컴퓨터 2대, 프린터 3대, 현금 18.000위안을 강탈해갔다.
◇2008년 12월 14일, 도문시 파룬궁수련생 류수윈(劉淑雲), 류산진(劉善眞), 황복순(黃福順)은 시 국가보안대대 경찰에 납치됐다. 국가보안대대 경찰은 그의 집에서 모든 대법 서적, 진상 책자와 자료 수 천 권, 프린터 2대, 컴퓨터 그리고 종이 자르는 칼, USB, MP3, 현금과 기타 재물 등을 강탈했는데 봉고차에 절반이 찰 정도로 많은 물품을 실어 갔다.
◇2009년 1월 5일, 도문시 석현파출소 경찰 10여 명은 파룬궁수련생 류샤오화(劉曉華)의 집으로 가서 납치를 시도했지만 류샤오화는 창문으로 탈출했다. 그들은 어떠한 법률 문서도 제시하지 않고 가택 수색을 진행해 8천 위안이 들어 있는 은행 통장을 강탈했다. 그리고 대법서적, 컴퓨터, CD, VCD, MP3, 핸드폰, 신분증, USB도 강탈했다.
◇2009년 7월 23일 저녁, 왕청현 동광진(東光鎭) 파출소 경찰들은 동광진 목단촌(牡丹村)에서 파룬궁수련생 리원수(李文書)의 집 담장을 뛰어 넘어 그를 납치했다. 그리고 모든 대법 서적, 진상 자료, 4,700위안 짜리 새 노트북 1대, MP3, MP4 및 현금 3만여 위안 등을 불법 수색해갔다.
◇2009년 8월 25일 아침, 연길시 국가보안대대에서는 파룬궁수련생 박순자(朴順子)의 집에 들이닥쳐 컴퓨터, 프린터, 대법서적, 자료, 진상 화폐 200여 위안 등을 불법 강탈했다. 그들은 박순자에게 조사를 받으러 따라 오라고 요구했으나 박순자는 단호하게 거절했다. 그렇게 반나절 대치하다 경찰은 결국 물품을 강탈하고는 가버렸다. 하지만 황당하게도 물품 운송비로 50위안을 추가로 받아갔다.
◇2009년 8월 26일, 화룡시 국가보안 및 연길시 국가보안경찰은 연길시 파룬궁수련생 정야원(鄭雅文)의 집에 침입해 그를 납치하고 집안 물품을 광적으로 강탈했다. 불법 강탈당한 물품은 컴퓨터, 핸드폰 2대, 현금 1천 위안, 정야원 여동생의 호구부, 핸드폰 메모리 카드, 고급 핸드백 2개(일상 용품, 직장 자료와 현금 포함) 등이 있었으며 정야원의 많은 일상 용품도 가져갔다.
◇2009년 9월 15일, 연길시 파룬궁수련생 박광수(朴光洙), 리룡길(李龍吉), 김명호(金明鎬) 등 3명은 연길시 국가보안대대 경찰에게 납치돼 연길시구치소에 불법 감금당했다. 경찰은 김명호의 집에서 모든 대법서적 및 컴퓨터 1대, 노트북 3대 등 물품을 강탈했고, 박광수의 집에서는 컴퓨터 1대, 프린터 여러 대 및 현금 몇 천 위안 등 재물을 불법 강탈했다.
◇2009년 9월 15일, 훈춘시 파룬궁수련생 궈슈제(郭秀傑)는 직장에서 국가보안대대 경찰에게 납치돼 훈춘시유치장에 불법 감금됐다. 10월 13일, 그는 1년 노동교양처분을 받고 감옥 밖에서 형을 집행당했으며 가족들은 수 천 위안의 보증금을 갈취 당했다.
◇2009년 12월 3일, 연길시 파룬궁수련생 박순자가 납치당했다. 경찰은 박순자의 딸을 찾아가 속임수로 대문을 열게 한 후 집안에 들어가 불법 수색을 실시해 컴퓨터 2대, 프린터 3대, 핸드폰 1대와 대량의 진상 자료 등을 강탈했다.
◇2010년 2월 27일 오전, 훈춘 국가보안대대와 광명가 파출소 경찰 및 거주지 경찰은 열쇠 수리공과 함께 훈춘시 영안(英安)3동에서 거주하고 있는 파룬궁수련생 쑤융장(蘇永江)의 집으로 갔다. 경찰들은 쑤융장 집의 대문 열쇠를 공구로 열고 노트북 컴퓨터, 프린터 등 물품을 훔쳐갔다.
◇2011년, 연길 파룬궁수련생 리창화(李昌華), 리창리(李昌立), 류화(劉華), 야오수핑(姚淑萍)은 돈화시로 납치됐다. 경찰은 이들의 집에서 프린터 2대, 컴퓨터 1대, 전화기 7~8개, 진상 화폐 약 5천 위안을 강탈했다. 그리고 또 일부 다른 소모품들도 있었다.
◇2012년 4월 17일, 한국에서 송환된 연길시 파룬궁수련생 허원중(許元中, 또는 허원종)이 납치됐다. 10여 명의 국가보안은 야밤에 허원중 집 대문 열쇠를 부수고 들어가 집안에서 대법 서적 40여 권과 컴퓨터, 사부님 법상 등을 강탈했다.
◇2012년 5월 9일 오후 4시경, 도문의 70대 남성 파룬궁수련생 두(杜) 씨는 도문시 공안국 경찰에 납치됐는데 경찰은 집안에서 물품들을 수색해 한 자동차에 가득 싣고 갔으며 현금도 강탈했다.
◇2013년 4월 3일, 연길시 국가보안대대 경찰은 파룬궁수련생 리정옥(李貞玉) 부친의 집에 들이닥쳐 리정옥을 납치했다. 불법 가택 수색 당시 가족들이 보는 것을 허락하지 않은 채, 컴퓨터 2대, 프린터 2대와 대법 서적 등을 강탈했다. 또 리정옥의 아들이 벌어온 목돈과 생활비 5천여 위안 및 은행 통장 2개 등 재산도 강탈했다.
◇2014년 1월 9일, 연길 파룬궁수련생 리구이메이(李桂梅)는 신흥파출소 경찰에 납치돼 불법 구류됐다. 1월 9일부터 4월 말 사이 연길시 ‘610’, 국가보안대대에서는 리구이메이에게 알리지 않은 채 그녀 여동생으로부터 5천 위안의 ‘보증금’을 갈취했는데 ‘재산 보증’이라고 둘러대고 만약 리구이메이가 일 년 안에 잡히지 않으면 돌려준다고 했다.
(계속)
문장발표: 2015년 2월 23일
문장분류: 중국소식> 더욱 많은 박해사례
원문위치: http://www.minghui.org/mh/articles/2015/2/23/30544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