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서적 |

오랫동안 못 했던 야외 연공

글/ 중국 대법제자

[명혜망] 저는 해외에 나와 야외 연공에 참여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한 수련생이 다음 날 호숫가에서 아침 연공이 있다고 알려줘, 저는 다음 날 아침 일찍 남편을 깨웠습니다. 새벽 4시가 넘어 아직 날이 밝기도 전에 수련생을 따라 연공 장소로 향했습니다. 길 위에는 우리 세 사람뿐이었습니다. 그 모습에 저는 저도 모르게 1999년 이전에 부모님과 함께 아침 연공을 하던 그 시절이 떠올랐습니다.

부모님은 1994년 사부님께서 직접 가르치시는 강의에 참석하신 후 수련을 시작하셨습니다. 저도 책을 읽어보니 좋다고 느껴 부모님을 따라 함께 수련했습니다. 부모님께서 군부대 단지에서 법을 알리시자 배우는 사람이 많아져 연공장이 생겼습니다. 1994년부터 1999년까지 5년간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연공했고, 날씨가 좋지 않으면 부대 강당이나 교실에서 연공했습니다. 건물 안에서는 비바람을 피할 수 있었지만, 혹한과 무더위, 모기들의 공격은 피할 수 없었습니다. 저희가 살던 곳은 북쪽의 해변 도시라 겨울에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졌습니다. 동공(動功)을 할 때는 움직여서 괜찮았지만, 제2장 공법을 연공할 때는 손을 오랫동안 움직이지 않아야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손은 서서히 차가워지다 감각이 없어지고, 그다음에는 열이 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매일 연공하면서 손은 추위에 점점 더 강해졌습니다.

한겨울의 추위는 견딜 만했지만, 한여름의 더위에 모기까지 기승을 부리면 견디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연공장에 직위가 아주 높은 부부가 온 적이 있어 아주 인상 깊었는데, 어른들이 그를 ‘부장님’이라고 불렀습니다. 그의 아내는 모기에 물리는 것을 가장 두려워했습니다. 우리가 수련을 시작하면 어떤 마음이든 내려놓아야 하는데, 때로는 무엇을 두려워하면 할수록 그것이 더 찾아오기도 합니다. 그녀는 모기에 물릴까 봐 두려워할수록 모기에게 더 많이 물렸고, 결국 여름이 되자 모기 때문에 더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사실 모기에 물리는 것을 참아내는 것 역시 하나의 수련 과정이었습니다. 처음 연공을 시작했을 때는 모기가 곁에서 윙윙거리면 몸을 움직여 쫓아내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는 연공 중에 움직이는 것이 옳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가만히 참으며 물리도록 내버려 뒀습니다. 물린 뒤에는 크게 부어오르고 가려워서 견디기 힘들었지만 긁을 수도 없어 마음이 아주 산란했습니다. 제가 움직이지 않으니 모기들은 신이 나서 이곳저곳을 마음대로 물어뜯었습니다. 어떨 때는 연공이 끝나고 나면 손과 얼굴이 온통 물린 자국투성이였고, 심지어 발을 무는 것도 좋아했습니다. 가을로 접어든 모기는 가장 ‘미친 듯이’ 기승을 부려 양말을 신어도 막을 수 없었습니다. 매일 연공하면서 마음이 점차 안정돼 모기에 물려도 마음이 움직이지 않게 되자, 어느 날 모기가 코에 앉아 바늘로 피부를 찌르는 듯한 미세한 통증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모기는 ‘포식’을 마친 뒤에야 날아갔습니다. 연공 시간이 길어지면서 물린 뒤의 가려움도 더는 저를 교란하지 못했습니다. 연공을 마치고 보면 물린 자리에 부기는 없고 작은 붉은 점 하나만 남아 있었습니다.

돌이켜보면 법을 얻은 후 야외 연공과 단체 법공부를 하던 그 시절이 제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시간이었습니다.

해외의 연공 장소는 아름답고 고요한 호숫가에 있었습니다. 저희가 도착했을 때 수련생들은 이미 연공을 시작하고 있었습니다. 잔잔하게 울려 퍼지는 연공 음악과 사부님의 위엄 있는 구령 소리를 듣자, 저는 서둘러 가방을 내려놓고 수련생 뒤에 서서 연공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연공하다 보니 저도 모르게 눈물이 흘러내렸습니다. 1999년 박해가 시작된 후 지금까지 26년 동안, 우리는 야외에서 연공할 환경을 잃었습니다. 합법적이고 공개적인 연공 환경을 되찾기 위해 중국 수련생들은 여전히 끊임없이 저항하고 있습니다. 해외 수련생들은 정말 행복한 것입니다! 부디 이 환경을 소중히 여기시길 바랍니다!

귀국 후 법공부 팀 수련생들에게 야외 연공 경험을 이야기하자, 그 수련생도 감격해 눈물을 흘렸습니다. 머지않아 파룬따파(法輪大法) 연공 음악이 다시 중국에 울려 퍼질 것이라 믿습니다! 우리도 해외 수련생들처럼 야외에 서서 연공할 수 있는 그날이 하루빨리 오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원문발표: 2025년 10월 19일
문장분류: 수련교류
원문위치:
正體 https://big5.minghui.org/mh/articles/2025/10/19/499192.html
简体 https://www.minghui.org/mh/articles/2025/10/19/499192.html

ⓒ 2025 명혜망.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