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중국 대법제자
[명혜망] 정법 수련 과정에서 일부 번거로운 일들과 교란은 대법제자들이 법에 대해 잘못 이해하거나 인식이 부족해서 법의 요구에 미치지 못해 생기는 것임을 깨달았다. 이로 인해 대법제자들은 어떤 문제들을 대할 때 늘 방임하는 상태에 처하게 되어 오랫동안 시련에 빠져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일상생활에서 자신이 어떤 일들에서 여전히 법에 맞지 않는 관념이나 사상을 드러낸다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면서도, 늘 자신에게 핑계를 댄다. 사부님께서 내가 인간 세상에 머물 수 있도록 속인의 것을 조금 남겨두셨다거나 자신에게 이렇게 말한다. ‘최대한 속인 상태에 부합하게 수련해야 하니 이런 것들은 결국 제거될 것이고 사부님께서 최종적으로 없애주실 것이다.’ 이렇게 오래가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자신의 수련 기준을 낮추게 된다.
1999년 7·20 사악한 무리가 대법을 박해하던 초기에 많은 대법제자들이 불법 구금됐다. 구치소에서 경찰들의 무리함과 횡포에 직면했을 때, 어떤 대법제자들은 겉으로는 매우 평화로워 보였지만 마음속으로는 경찰들을 원망하고 증오했다. 개공(開功) 상태로 수련하는 한 대법제자가 말하기를, 마음속으로 계속 경찰을 원망하는 대법제자는 끊임없이 자신 몸의 백색물질을 경찰에게 옮겨주고 있다고 했다.
개인적인 체득으로는, 사부님께서 법에서 말씀하신 “때려도 맞받아치지 않고 욕해도 대꾸하지 않는다”(시드니 법회 설법)는 것은 초기 대법 수련에서 대법제자들의 표면 행위에 대한 요구였다. 하지만 정법 수련자에게 있어서는 마음속의 불균형과 각종 부정적인 사상 반응이 바로 우주 특성과 어긋나는 것이며, 우주 특성인 ‘진선인(眞·善·忍)’의 기준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 것이다.
나 자신도 한동안 매우 나태했고 수련에서 정신을 차리지 못했다. 어느 날 출근길에 휴대폰을 들었는데, 갑자기 전자책에서 사부님의 이 말씀이 자동으로 나타났다. “속인사회는 바로 하나의 큰 염색 항아리다. 자신을 조금만 느슨하게 하면 바로 침투하기 때문에 반드시 끊임없이 닦고 오염을 막아야 한다. 조금만 느슨해져도 그것들은 달려든다. 당신들은 수련인이기 때문에 사부는 당신들이 능히 속인사회에서 수련할 수 있도록 그 부분의 것들을 남겨놓았다. 이 또한 하나의 원인이다. 당신이 최대한도로 속인사회 상태에 부합되어 수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정진하지 못할 때 사람의 이런 것들이 틈을 타게 된다. 그러나 수련하는 사람으로서 수련 중에서 끊임없이 자신을 바로 잡을 수 있고 끊임없이 나쁜 것들을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여전히 남아 있을 수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자신이 수련을 잘하지 못한다고 생각하지 말고 더욱이 부담을 갖지 마라. 그럼 집착이 된다. 있으면 제거해버리고 정정당당하게 수련하라. 자신의 행위가 그것에 의해 교란당하지 않도록 하라. 사상에서 반영되어 나오면 제때에 제거해야 한다.”(2004년 뉴욕국제법회 설법)
이 법을 다 본 그 순간, 나는 사부님께서 시시각각 제자들을 지켜보고 계신다는 것을 진실하게 느꼈다. 제자에게는 정진하지 않을 이유가 없고, 속인 환경에서 자신을 방임할 이유가 없다. 대법제자는 장래에 천체 한 면을 주관할 왕이자 주(主)로서 기준 요구가 높으며, 생명 구성이 절대적으로 순수하고 아름다워서 어떤 불순한 물질과 요소도 없다. 평범하고 담담해 보이는 일상생활이지만, 언제 어디서나 모두 한 대법제자의 심성 기준을 시험하고 있으며, 일사일념(一思一念)을 모두 잘 살펴야 한다. 속인 사회의 큰 염색통, 큰 홍류 속에서는 곳곳에 사람의 마음을 건드리는 교란과 유혹이 있다. 어떤 환경에서든 모두 한 대법 수련인의 상태를 유지하고, 중생을 구하는 마음과 출발점으로 만나게 되는 문제에 직면해야만 대법 수련의 이 길을 바르게 걸을 수 있다.
개인적인 조금의 체득이니 부족한 곳이 있으면 수련생 여러분께서 자비롭게 바로잡아주시기 바란다.
원문발표: 2025년 6월 29일
문장분류: 수련교류
원문위치:
正體 https://big5.minghui.org/mh/articles/2025/6/29/492363.html
简体 https://www.minghui.org/mh/articles/2025/6/29/492363.html